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36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윤성로
교수
연구팀 '표절 논문' 조사 방침
동아사이언스
l
2022.06.26
수 없다는 데 동의하며 모든 징계절차를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교신저자인 윤
교수
등 공저자들은 지적을 받고 표절 사실을 확인한 뒤 소셜계정과 이메일 등을 통해 학술대회 주최측에 논문을 철회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며 소속 기관인 서울대에 징계위원회 회부 절차 개시를 요청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평등에 맞서는 데이터 분석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5
주제로 불평등과 관련된 특집을 마련했다. 줄리아 레인 미국 뉴욕대 공공서비스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과학 분야에서 여성이 남성과 같은 양의 일을 해도 논문 저자나 특허 발명가로 이름을 올릴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네이처에 22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제 연구에서 여성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
2022.06.25
지질학
교수
.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
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파고캐고 지질학자] 18화. 석회암에 찍힌 네모난 자국의 정체는? 태백 ... ...
“원숭이두창 2018년부터 조용히 퍼지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새로운 감염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사간 프리언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
는 “야생동물 중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는 동물이 사람에게 다시 전파할 가능성도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현지 22일 기준 23개 주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감염자는 156명으로 ... ...
여성은 남성보다 과학 논문 저자로 인정 덜 받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편견이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테판 크라우스 영국 버밍엄대 지리학부
교수
팀은 전 세계에서 수여되는 각종 과학상 345종 수상자 8959명의 성별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이름을 딴 상이 214개인데 이들 상 수상자 가운데 여성은 12%에 머문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사람 이름을 ... ...
'맨눈에도 보인다' 거대 박테리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4
사람은 프랑스령 서인도제도 과들루프 앤틸레스대의 해양생물학자인 올리비아 그로
교수
다. 지난 2009년 맹그로브 숲에서 공생 박테리아를 연구하다가 흰 색의 실처럼 생긴 유기체를 채집했다. 처음엔 균류와 같은 진핵생물로 여겼지만 연구를 통해 거대 박테리아로 확인됐고 이번에 연구결과가 ...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양방향교신 성공 "투입능력 검증"...독자 우주개발 능력 적용 첫 시범사례는 '큐브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2
‘SNUGLITE’, 오현웅 조선대
교수
팀의 ‘STEP Cube Lab-2’,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팀의 ‘ASTRIS-2’의 의 모습이다.(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이덕환의 과학세상]수질 오염과 물고기 집단 폐사
2022.06.22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인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
교수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에너지,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단계부터 국내 우주기업들의 참여와 육성이 목표다. 안재명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는 “우주발사체는 지표면과 우주를 연결해주는 유일한 교통 수단으로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본격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라며 “우주로 나가면 할 수 있는 흥미로운 일이 많다는 점에서 ... ...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상용화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KBSI)은 채원식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종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재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CaTiO3처럼 ‘ABX3’ 형태의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로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