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대
교단
지휘대
단체
강단
구
스페셜
"
단
"(으)로 총 1,038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호소했지만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연구팀은 “저농도로 개발하면 안전하면서
단
한 번의 접종 만으로 대부분의 접종자에게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결론 내렸다. ... ...
한국군 통신위성 51일전 美 유인우주선 실어나른 재활용 로켓에 실려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스페이스X는 페어링에 낙하산을
단
후 천천히 떨어지는 페어링을 대형 그물을
단
배를 이용해 바다 위에서 받아내는 방식으로 회수를 시도해 왔다. 페어링은 팰컨9 발사체 비용의 약 10%인 600만 달러(약 72억 원)를 차지한다. 회수하면 상당한 비용을 아낄 수 있는 셈이다. 스페이스X는 지금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에서 TST2 유전자 발현 조절 부위에 변이가 생겨 당운반
단
백질이 많이 만들어져 과육의
단
맛이 높아지면서 케로티노이드도 많이 만들어져 과육이 노란색에서 주황색을 띠게 됐을 것이다. 그 뒤 LCYB 유전자가 고장나면서 라이코펜이 축적돼 과육이 빨간 품종이 등장했다. 실제 달콤한 수박 재배 품종 ... ...
UAE 화성 탐사선 '아말' 성공(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14초 일본 큐슈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고 밝혔다. H2A는 발사후 6분 44초만에 1
단
로켓을 분리한 후 11분 20초 뒤에는 2
단
로켓의 1차 점화도 끝내며 성공적으로 아말을 우주 궤도에 올렸다. 아말은 발사 1시간 후인 7시 58분 H2A와 분리하는데 성공한 데 이어 태양전지판을 펼치는 데도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있지만, 아데노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
점이 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실현을 한 걸음 앞당겼다. 하지만 1999년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직장내 성적 괴롭힘에 대하여
2020.07.18
특히 여성 리더가 많은 조직에서는 이러한 일이 비교적 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
몇 명만이라도 잘못된 일은 잘못되었다고 말한다면 상황은 훨씬 좋아진다는 것이다. 즉 성적 괴롭힘을 줄이기 위한 해결책은 여성 직원을 고용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여성 직원을 더 많이, 더 비중있게 ... ...
인공지능 기반 공정 최적화 연구로 금형 주조 불량률 절반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7,200만원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셈이다. 기포·수축·미성형 3대 불량 현상... 완제품
단
계에서야 알게 돼 주조는 쇳물인 용탕이 금형 거푸집에 흘러들어가는 경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품질이 달라진다. 제품의 어느 부분으로 용탕을 넣어줄지, 내부에서 생기는 가스가 어느 부분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수 있는 기사는 동아사이언스에 강석기가 쓴 부고 뿐이다. 강석기는 이 부고에서 아주 간
단
하게 그의 업적을 소개하고 있다. 강석기,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 독일 과학계 구조조정을 이끈 ‘후베르트 마르클’, 동아사이언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9227 -박시훈, & 정선양. (2019). 독일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해외에서는 아직 논란이 많아 상대적으로 적게 보도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
백질 변이 위험성도 국내에서는 유독 부각돼 “전파력이 6~10배 강하다”는 식으로 기정사실화돼 보도됐다. 셀트리온 등 일부 기업은 이런 국내의 변이 공포에 맞춰 “변이를 지닌 바이러스에 더 적합한 ... ...
전직 美 보건수장들 "과학 이렇게 정치화한 대통령은 처음" 트럼프 공개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기간을 통틀어 정치적 압박이 과학적 증거를 해석하는 데 있어 변화를 가져온 경우는
단
한 번도 떠올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최고 전염병 권위자를 사실상 퇴출했다고 비판받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보건원 산하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