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통해 흉선에서 미성숙한 T세포가 성숙할 때 자기 세포나 조직 등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이
수용
체를 가진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T세포 내성'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에른스트 밤베르크 독일 막스플랑크생물리학연구소 명예소장과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계의 인종차별
2019.09.25
있을까? 공정한 사회로 가는 길은 언제나 비탈이다. 그리고 과학계 역시 사회의 변화를
수용
하고 끊임 없이 차별을 없애야 할 의무를 갖는다. 이제 그 오랫동안 감춰져 왔던 익명성 뒤의 추태를, 과학계 스스로 드러낼 때가 되었다. 참고자료 -Science and inequality, Nature 537, 465 (22 September 2016)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ASFV가 이들 세포의 어떤
수용
체를 인식해 달라붙는지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수용
체를 모르니 바이러스가 달라붙는 걸 방해하는 약물(치료제)을 설계할 수도 없다. 면역세포에 침투한 바이러스는 다양한 경로로 면역세포의 신호체계를 교란시키며 증식한다. 면역세포가 적이 침투했다는 신호를 ... ...
뇌성마비 환자 보행재활 돕는 로봇 재활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로봇만을 활용해 재활한 경우와 관절을 풀어준 후 로봇을 활용해 재활한 경우 고유
수용
감각과 다리 제어능력이 더 향상되는 것도 확인됐다. 이 선임연구원은 “뇌성마비뿐 아니라 뻣뻣한 관절을 가진 절단환자와 근골격계 및 신경손상 환자에게도 방법론이 적용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완벽한 원운동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수제자 아리스토텔레스도 기본적으로 이 체계를
수용
했다. 당대에 살았던 에우독소스는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여러 개의 동심천구를 도입해 천체들의 운동을 설명했다(‘동심천구설’). 각 천체는 자기만의 투명한 수정천구에 붙어 지구를 중심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뉴런까지 전달되는 것으로 보인다. 양계혈에 침을 놓아야 소용이 없는 건 이곳의 기계
수용
체와 척골신경의 축삭이 연결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논문 말미에서 연구자들은 알코올의존증인 사람을 대상으로 침의 효과를 본 기존 연구들에 대해 언급했다. 과거 실험들은 효과가 있다는 결과와 없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넘는 사람들 가운데 변이형을 지닌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이번에 발견한 β1-아드레날린
수용
체 유전자 변이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10만 명에 네 명꼴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지금까지 조사한, 적정 수면시간이 짧은 구성원이 포함된 수백 가계 가운데 두 유전자의 변이를 공유한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카르타고의 사르데냐 침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카르타고의 침공 주둥이에 후각
수용
체가 있는 말라리아 모기. 동아일보 자료 사진 사르데냐섬은 이탈리아반도의 서쪽에 위치한 작은 섬이다. 작은 섬이지만 지중해에서는 두 번째로 큰 섬인데, 시칠리아는 사실상 이탈리아반도와 붙어있는 것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불리는 면역세포를 투입해 97% 이상 소멸시켰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두 가지 항원
수용
체(CAR-1과 CAR-2)가 감염된 세포 표면에 나와 있는 바이러스의 gp120 단백질을 인식해 달라붙으면 신호가 전달돼 감염된 세포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물질(perforin과 granzyme B)이 분비된다. ‘C. Bickel/사이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단순히 혀의 미뢰에 분포한 미각
수용
체의 작용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건 아니다. 미각
수용
체의 분포밀도나 유전형 차이로 미각의 민감도에 개인차가 있듯이 침 속 소화 효소의 차이도 음식 맛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위의 경우는 촉각을 통해). 그런데 최근에는 침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맛의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