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물리학자 소립자물리학의 새로운 국면을 개척했다 76년 이 공로로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
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방향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성분으로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굴을 알아보지 못하는 증상으로 1947년 독일 신경학자인 요아킴 보다머가 처음
발견
했다.얼굴실인증 환자는 목소리나 옷차림으로 친숙한 사람을 인식할 수 있지만 얼굴을 알아보는 일만은 하지 못한다. 얼굴을 보고 그 사람이 늙었는지 젊었는지, 남자인지 여자인지도 말할 수 있지만 그 사람이 ... ...
첨단 기술에 편한 옷 입히는 디자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주정은 씨(28)는 며칠 전 인터넷 쇼핑몰에서 맘에 드는 작은 옷장을
발견
했다. ‘예쁘긴 한데 방에 놓기엔 좀 크지 않을까’ 가로, 세로, 높이가 cm 크기로 나와 있지만 감이 오지 않았다. 방의 치수를 자로 재면서 머릿속으로 그려보니 얼추 크기가 맞는 것 같다. 옷장이 도착한 날, 주 씨는 당황했다. ... ...
2012년 열추적 위성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위에서 쏜 미사일을
발견
하는 열추적 위성을 한국이 2012년 발사한다.정부는 최근 국가우주위원회를 구성하고 2012년 적외선 위성(아리랑 3A)을 발사하기로 결정했다. 이 위성에 달릴 적외선 카메라는 빛 대신 열을 본다. 주변 지역보다 온도가 갑자기 올라가는 지역을 찾아내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 ...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억 년 이상 된 나이든 별이 모여 있지요. 우리 은하계에서는 지금까지 구상성단이 130여개
발견
됐어요. 이 곳의 별을 트리에 흩뿌리면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리가 되겠죠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사는 아무르표범이라고 해. 1962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하지만 내 발자국이
발견
되는 등 아직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도 있단다.여우한국 대표귀신 구미호. 바로 나 여우를 귀신으로 생각한 거지. 그런데 구미호는 흰색이지만 난 붉은색 털을 가지고 있단다. 난 사람들이 사는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혈액에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서로 맞지 않는 혈액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
했다. 혈액형의
발견
덕분에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저는 혈액형이 Rh-형이래요~!혈액형의 종류는 다양하여 단순히 ABO식으로만 구분할 수 없다. Rh-형 혈액형은 백인들에게는 흔한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00 ... ...
습지에 한번 빠져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있어요. 깃동잠자리 등 곤충과 개구리도 지천에 널려 있죠.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도
발견
됐어요. 함부로 들어 갈 수는 없지만 10월부터‘습지를 가꾸는 사람들’이 한 달에 한 번씩 둘째 주 토요일에 견학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풀밭을 밟을 때마다 온갖 곤충들이 벌이는 뜀박질을 놓치지 마세요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세계 곳곳에서 똥을 쓰레기가 아닌, 가치 있는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똥의 재
발견
개똥도 전기 만들려면 없어애완동물이 유난히 많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공원에 널려 있는 똥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온갖 애완동물의 똥을 모아 탱크에 넣은 뒤 미생물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섞으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있는 녹조류를
발견
했다.또 치아에 붙은 찌꺼기에서는 꼬물거리는 수많은 작은 동물을
발견
했다. 레벤후크는‘관찰해서 얻는 지식에 대한 열망이 너무 커서’죽는 날까지 현미경이 보여 주는 작은 세계에 빠져 살았다.코르크마개에서 세포
발견
!레벤후크와 비슷한 시기에 영국에서는 로버트 훅이 ... ...
이전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