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07. 사람 마음 읽는 감성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실현 가능성이 더 앞당겨지고 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자기 마음과 감성을 알고 자신이 원하는 반응을 쉽게 얻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그렇게 ‘대접’을 받게 되는 인간은 컴퓨터의 그런 반응에 감동할 것이다. 마치 자신을 이해하고 원하는 답을 주는 상대에게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의사 아스클레피오스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아폴로 신과 코로니스
사이
에서 태어났는데, 뱀이 약초를 물고 와서 죽은 뱀을 살리는 광경을 목격하고선 죽은 자를 살려내는 의술을 터득하게 됐다. 땅꾼이 잡고 있는 뱀이 바로 약초를 물고온 뱀이다.뱀자리는 두 부분으로 나눠져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천년을 주기로 회전한다는 것이다. 세번째는 지구 자전축이 4천만년을 주기로 약 22-24.5˚
사이
에서 커졌다 작아졌다하는 변화다. 현재는 23.5˚ 기울어져 있다. 이런 지구 운동을 고려해 얻은 결과는 과거 지구 기후의 실제 데이터와 잘 들어 맞는다. 흥미로운 점은 현재 지구가 더워지고 있지만 지구의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셈이다. 바람의 길이란 말 그대로 공기가 들고 나는 통로. 도로 폭과 건물 높이, 건물
사이
의 간격을 유체 역학적으로 배치해 주변 녹지에서 바람을 끌어들여 정체돼 있는 도심의 유해 공기를 밀어내는 방식을 뜻한다.2. 건물 녹화 최근 도시 환경과 자연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주목받는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해저 지표 아래 일정 깊이에 토사를 파내면서 뚫는 해저터널이 있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
의 도버 해협을 잇는 채널터널이 대표적 예다.터널 종류를 결정하는데 해저 지질 환경은 중요한 요소다. 예를 들어 채널터널은 수중터널이나 침매터널 대신 해저 바닥 밑에 터널을 뚫는 방식을 선택했는데, ... ...
사이
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것이 아니다”고 말한다. 관계의 시각화에는 복잡한 수학적 지식이 동원된다고 한다.
사이
람은 사회학, 경제학은 물론 수학, 물리,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전공자들로 구성돼 있다. 그만큼 사회네트워크 분석이 다양한 학문의 결합이 필요한 분야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
06. 보이지 않는 수호천사 바이오시그널 모니터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물이 전기를 전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욕조에 사람이 들어가 있는 경우 전극과 사람
사이
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이와 같은 측정이 가능하다.사람의 정신적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뇌파 신호가 필요하다. 그런데 뇌파는 신호가 미약한데다가 별도의 전극을 부착하지 않고 ... ...
아킬레스와 헬레네는 상상 속 인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수세기 동안 여러 전문가들이 도전했다.일리아스에 따르면 트로이는 에게해와 흑해
사이
의 다르다넬스 해협 근처에 있던 철통같은 요새였다. 1870년대 독일의 고고학자 하인리히 쉴리만 박사는 이 해협에서 수km 거리에 있는 히살릭 언덕에서 고대 도시국가의 유적을 발굴했다. 그런데 깊이 팔수록 한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APCTP) 소장 취임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
사이
언스코리아’운동에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적인 참여의사를 밝혔다.러플린 교수는 1996년 아·태이론물리센터 현판식 때 처음 인연을 맺은 이래 수차례 한국을 방문해 이미 국내에 폭넓은 인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분비하게 해 그 항원에 특이한 T림프구와 B림프구를 증식시킨다. 한편 이들 림프구
사이
에도 인터루킨-2를 비롯한 수많은 림포카인으로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면역계의 기능을 조정한다.증식된 T림프구는 항원을 직접 공격하여 파괴하는데 이를 세포성 면역이라고 한다. 한편 증식된 B림프구는 그 ... ...
이전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