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신호등의 빨간빛과 초록빛, LCD 평면 TV의 광원, 오징어잡이 배에 다는 전등, 한강 다리를 멋지게 장식하는 조명…. 이처럼 빛은 어둠을 밝히는 본래 목적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예부터 ‘빛과 소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빛은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존재였는데, 오늘날엔 산업 전반 ... ...
- 자동차 안전장치에 숨겨진 원리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자동차의 발명은 인간 활동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빠르고 편리하며 접근성이 좋은 자동차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고 불릴 정도다. 더 빨리, 더 강하게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 내는 것이 자동차를 생산하는 사람들의 꿈. 하지만 사고 위험이 늘면서 운전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보호 장비 기술 또 ...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과학동아 l2009년 08호
- 튀지 않게 탄산음료를 따려면??더운 여름에는 체액이 땀으로 많이 빠져나간다. 이럴 때 우리는 수분 보충을 위해 음료수를 찾는다.필자가 지난해 5월호에서 시중에 파는 음료수들의 산도와 당도를 측정했을 때, 콜라는 pH2.2에 10.9%의 당도를, 사이다는 pH2.72에 10.6%의 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 ...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서울에서 KTX 열차를 타고 3시간 가까이 달려 부산에 내렸다. 동래구에 있는 ‘우장춘 기념관’을 찾아가기 위해서다. 다시 지하철을 타고 명륜동역에 내렸다. 몇몇 시민에게 길을 물어봤지만 우장춘 기념관의 위치를 아는 사람이 없었다.하는 수 없이 택시를 타고 물어물어 우장춘 기념관에 도착했 ...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지난 4월 7일 국내 육종학계에 경사가 생겼다.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다국적 종자회사 ‘누넴’이 한국 중소기업 ‘고추와 육종’이 개발한 기술을 5만 유로(약 9000만 원)라는 큰 돈을 주고 산 것이다. 한국 기업이 육종기술을 농업강국인 네덜란드에 수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외국 육종 전문가들 ...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과학동아 l2009년 08호
- 물고기도 사람처럼 다른 이의 행동을 보고 따라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더럼대 인류학부 제레미 켄달 박사팀은 한국과 일본의 하천에 많이 사는 잔가시고기(Pungitius pungitius)가 사람처럼‘사회적 습득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동물 중 유일하게 사람만 다 ...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오늘도 온 나라에 평화가 깃들기를 바랍니다.”‘새벽의 여신’에오스가 밤의 장막을 걷어 올리면 에티오피아의 공주 안드로메다는 매일 호숫가에서 몸을 정결히 씻고 신께 이처럼 기도했다. 그러나 어머니인 왕비 카시오페이아가 자신의 미모를 과시하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사 나 ...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1998년 개봉한 일본 영화 ‘링’은 이전 공포영화와는 완전히 다른 두려움을 관객에게 안겼다. 줄거리에 스며든 자못 충격적인 설정 때문이었다. 실수든 고의든 원혼이 깃든 비디오 영상을 본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테이프를 보여줘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일주일 뒤 반드시 죽는다는 내용이었다. 예 ...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쇄빙선이 왜 필요하냐고요? 집을 오가려면 교통수단이 필요하잖아요. 그동안 한국은 남극에 기지(집)는 있었지만 이곳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쇄빙선(교통수단)은 없었어요. 쇄빙선이 꼭 필요할 때면 하루에 8000만 원을 써가며 다른 나라에서 빌렸습니다. 앞으로는 꽁꽁 언 바다를 뚫고 기지에 ... ...
- 북한 로켓 발사 소동 위성인가, 미사일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8호
- 2009년 4월 5일, 한반도에서 발사된 로켓 하나가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바로 북한이 발사한 ‘은하 2호’라는 위성발사체 때문이에요. 지금은 위성발사체로 판명이 났지만, 이 로켓은 발사되는 순간까지도 미사일인지 위성발사체인지 그 정체가 불분명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답니다. 그 ... ...
이전6376386396406416426436446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