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열린 소형위성 연례학회에서 소행성 채굴 개발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어요. 2019년에 ‘프로스펙터-1’을 쏘아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돼요. 우주에서 물은 훌륭한 연료이기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되지요. 지구에서 토성까지는 평균 14억km나 떨어져 있어요. 제가 여기까지 오는데 꼬박 7년이 걸렸지만, 전파를 통해 지구까지 자료가 가는 데는 68~84분 정도 걸린답니다. 토성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크고 아름다운 고리예요. 이 고리는 주로 얼음덩어리나 돌덩어리들이 토성을 공전하면서 생겼어요.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그리고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 북한 4곳은 비공식 핵보유국이지. 하지만 1996년 9월 183개 국가가 모든 종류의 핵실험을 멈추겠다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RBTO)’을 맺었어. 그만큼 많은 나라에서 핵실험이 전세계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한 거야.그런데도 북한에서는 계속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흙덩이 양(壤)’이 합쳐진 한자어예요. 땅 위의 바위나 돌이 물과 바람 등에 의해 수천 년 동안 잘게 부서져 만들어진 것을 ‘토양’ 혹은 ‘흙’이라고해요. 지구 표면을 덮고 있는 토양은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준답니다. ‘흙 토(土)’는 식물의 싹이 흙덩이를 뚫고 땅 위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웠지요. 그래서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25개 국가들은 1884년 10월 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국제자오선회의를 열고 자오선의 기준을 정했어요. 투표 결과 22표를 얻은 영국의 자오선이 ‘본초자오선’으로 정해졌답니다. 한편, 본초자오선은 세계 시간의 기준이 되는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도착한 뒤, 2027년~2033년까지 목성 트로이군의 소행성을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2023년에 발사 예정인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것이 목표예요. 대부분 철과 니켈로 이뤄진 소행성인데, 이 물질은 지구 중심 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기도 ... ...
- Intro. 원자폭탄부터 수소폭탄까지! 북한 핵실험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로버트 오펜하이머’야. 사람들은 나를 ‘원자폭탄의 아버지’라고도 부르지. 1942년부터 미국에서 시작한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세계 최초의 원자폭탄 트리니티, 리틀보이, 팻맨을 제작하는 연구소장을 맡았기 때문이야. 하지만 사실 난 이 별명을 썩 좋아하지 않아.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강력한 핵무기인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해 왔단다. 가장 무서운 핵무기, 수소폭탄1945년 7월 16일 새벽 5시 29분, 세계 최초의 원자폭탄 ‘트리니티’가 폭발했어요. 과학자들이 원자폭탄인 리틀보이와 팻맨을 실제로 전쟁에 투입하기에 앞서 그 위력을 시험해 본 거예요. 미국 뉴멕시코주 앨라모고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강의실에 모였어요. 도슨트 선생님께서 기원전 2000년 전 시작된 철의 역사부터 말씀해 주셨지요. “철은 지구에 가장 많이 있는 물질이에요. 그래서 철의 원료를 쉽게 얻을 수 있지요. 게다가 철은 단단하고 오래 간답니다. 철에 약간의 탄소를 섞은 것을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우리는 심한 자외선 때문에 피부암과 백내장 등 여러 질병에 걸릴 수 있어요.그런데 1980년대 영국의 탐사대가 남극의 오존층에 생긴 구멍을 발견했어요. 이후 위성 관측을 통해 이 구멍이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요.연구 결과 오존층 파괴의 범인은 바로 ‘프레온가스(CFC)’였어요. ... ...
이전6386396406416426436446456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