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편모로 움직이는 박테리아 그리고 백혈구 세포처럼 슬며시 퍼지는 아메바들의 행동
양
상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이들의 동작 원리를 모방하기 위해서다. 순간포착이 중요해드렉슬러는 과학이 이러한 꿈을 실현하려면 원자크기 상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기구들이 우선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올림픽 방송을 위해 개발된 세계적 수준의 기기들이라는 게 방송인들의 자랑이다.인력
양
성이 과제 90년대와 21세기의 영상예술은 컴퓨터그래픽의 진보와 함수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방송관계자들의 얘기처럼, 지금 세계는 과학과 예술의 끝없는 만남을 이러한 장비개발을 통해 이루어내고 있는 ... ...
세계 최초로 광프로세서 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모으는 렌즈, 빛의
양
을 전달하는 마이크로 구성했으며 크기는 길이 60cm의 정사각형 모
양
이다.광스위치에는 기존 컴퓨터의 트랜지스터 역할을 하는 광트랜지스터가 있는데 이것은 전자트랜지스터보다 10배 빠르게 데이터를 전달한다.또 광프로세서는 복잡한 논리적인 게이트(gate)가 필요하지 않아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많은 기술발전과 인력
양
성이 기대된다. 방손분야에서도
양
방송사뿐아니라 이 분야를 전공한 개인이나 독립프로덕션이 많이 나와 창작성이 뛰어난 작품들이 쏟아질 날도 멀지 않았다고 본다 ... ...
PART Ⅴ 선박설계·생산자동화시스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방법이라는 것이다.해사기술연구소 서인원실장(해사경제)은 "아직은 조선산업이 사
양
산업이 될 수 없다. 어느 분야를 봐도 세계 2위권에 당당하게 자리잡은 산업은 조선산업밖에 없다. 기술개발에 산(産)·학(學)·연(硏)이 일체가 되면 난공불락 일본도 넘볼 수가 있다"고 가능성을 제시한다.처음 ... ...
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삼는 것이다. 그러나 가끔씩 산꼭대기를 좋아하는 염소를 따라 위험한 산길을 올라간 면
양
들이 다시 내려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염소가 제일 좋아하는 풀은 건조한 기후에서 자란 풀이다. 특히 비옥하고 햇볕이 잘 드는 고지에서 나는 풀들을 잘 먹는다. 그러나 비료를 주었거나 부식토가 포함된 ... ...
작은 꼬인 빛 Tiny Twisty Ligh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영향을 받는 거대한 물체를 지나갈 때 구부러진다는 것을 예측했다. 구부러지는
양
은 질량의 크기와 빛에 얼마나 가까운가에 달려 있을 것이며 아인슈타인은 그것이 모두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를 계산했다. 그의 예측은 1919년에 증명되었고 그 이후 여러가지 방법으로 여러 차례 입증되었다.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었다. 참가한 마우스들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고 대회참가 마우스의 수에서도
양
적인 팽창이 이뤄졌다. 우승은 5회 6회 대회에서 연거푸 우승했던 '스피디 2' '스피드 3'과 같은 계열인 '스피디 3⁺'가 차지했다.'스피디 3⁺'는 하드웨어는 '스피디 3'과 같으나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보다 ... ...
스키장에서 활약한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원활하게 작용하려면 주변의 온도가 -4℃ 이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따른다. 또 엄청난
양
의 에너지와 물을 요구한다. 일례로 미국의 레이크플레시드의 한 스키장에 있는 눈대포는 1분당 1천 3백ℓ의 물을 정말 '물쓰듯이' 쓰고 있다.한편 공해문제로까지 비화되기도 했다. 널리 써온 폴리스티렌 ... ...
폰즈-플레이시만 발표 이후 1년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로 끝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원래 3중수소가 상당량 포함되어 있어 서로 구분이 안될 뿐더러 방출되는 중수소의
양
이 매우 적어서 그 검출이 어렵다. 한편 열측정은 정확한 반응 형태가 알려지고 어떤 물질이 발생했는가를 알아야만 하므로, 정확한 반응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얼마만큼이 여분의 열량인지 알 수가 없다. ... ...
이전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