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986년, 신경 세포간의 연결 상태를 지도처럼 나타낸 ‘커넥톰’이 모두 밝혀졌답니다. 2011년, 미국의 AI 연구자 ‘티모시 버스비스’는 ‘오픈웜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 프로젝트는 앞서 밝혀진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생명체를 만드는 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스토리 따라잡기] 물건의 정체는?채윤이는 먼지가 잔뜩 쌓여 있는 물건을 조심히 내려놓았어요.“이게 바로 그동안 이모가 말했던 게임판이지? 이 게임판을 이 ... 우리가 역사책에서 보던 많은 일들이 우주 달력에서는 12월 31일 밤 11시 59분부터 약 1분 동안 일어난 일에 불과하답니다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를 빼놓을 수 없다. 인체비례도는 사실 레오나르도의 완전한 창작물은 아니다. 기원전 1세기 고대 로마시대의 비트루비우스라는 건축가가 로마 제국 건설을 위해 쓴 책 ‘건축 10서’에서 ‘도시나 건물의 설계는 세계의 축소판인 인체의 비례에 따라야 한다’고 언급한 것을 레오나르도가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었다. 네이버 쇼핑에서도 추천의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 네이버는 2016년 11월 딥러닝 기반 상품 추천 시스템인 ‘에이아이템즈(AiTEMS)’를 개발해 패션 분야에 시범 적용했다. 그 결과 서비스를 시작한 지 2주 만에 상품 클릭수가 평균 6.4배 늘어났다. 사용자들이 네이버에서 검색한 단어나,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처음 시작된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6년간 단 한번이라도 30위 안에 이름을 올린 투수 371명 중 왼손 투수는 102명으로 약 27%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왼손잡이 비율인 10%보다 2.7배 가량 높은 수치다. 2017년에는 특히 왼손투수가 무려 12명이나 이 ...
- [Infographic] ISS, 20년의 발자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년 우주 개발 협력의 상징, 국제우주정거장 ISSPart 1. 1998~2018, 해시태그 로 본 20년의 기록[Infographic] ISS, 20년의 발자취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년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1999년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 발사가 1990년대에 이룬 한국 우주 개발 성과의 전부였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 ‘과학기술위성’ 시리즈를 발사하고, 방송통신위성인 ‘천리안’ 발사, 한국 첫 우주 발사체인 ‘나로호’ 개발 등으로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빨라진다. 즉 550m인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는 5.5X10-14초만큼 빨라진다. 이는 58만 년에 1초가 변하는 정도의 차이다. 아주 작은 차이 같지만 일상생활에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이 정도 오차를 가질 경우 전혀 엉뚱한 길로 안내할 수 있다. 현재 표준연은 이터븀 광격자 시계의 불확도를 10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제로 이야기하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는 1학년 때 연구 기초능력을 키우고, 2학년 때 소그룹 연구 활동을 거쳐, 3학년이 되면 개별적으로 혹은 KAIST 고등학생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졸업연구를 수행하고 졸업논문도 작성한다. 고등학생이면서도 한 명의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말이다. 하지만 1학년 1학기에 4등급이던 학생이 2학기에는 3.3등급으로, 다음 2학년 1학기에는 2.8등급으로, 또 그 다음 학기에는 2.5등급으로 꾸준히 성적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면 성실성과 지적 열정을 지닌 학생이기에 다음 학기에도 성적이 상승될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6396406416426436446456466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