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앞어금니와 어금니의 크기가 커졌다. 구조도 잘 씹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이와 반대로
개
와 같은 육식 동물은 먹잇감을 공격하고 살을 잘라 먹어야 하기 때문에 송곳니가 크고 잘 발달했다.매머드나 마스토돈 같은 포유류의 입은 형태가 더욱 특이하다. 앞니가 아주 크게 발달해 있다. 높이 쌓인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자세를 가지라는 뜻이다. 그러려면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영어가 꼭 필요하다.
개
인적으로는 1980년대만 해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강대국이 될 것 같았던 일본이 ‘잃어버린 20년의 덫’에 갇힌 이유가 국제 감각의 부재라고 생각한다. 자원도, 인구도 부족한 조그마한 도시 국가 싱가포르가 잘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돕고, 고객 회사에 훌륭한 솔루션을 쓸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개
발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지금도 쉬지 않고 자기 계발을 하고 있다. “기술 시장 흐름을 읽어내기 위해서 기술과 관련된 국제 뉴스를 꼼꼼히 살펴봅니다. 특히 해외 매체에 나온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상품으로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합쳐서 장비를 만들고 여기에 게놈 관련
개
인 예측 서비스나 연구자들이 쓰는 해독정보서비스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하드웨어도 팔고 프로그램도 팔고 서비스도 파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걱정과 불안은 인생에 절대 도움 안돼많은 실패와 성공을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다 직원들 덕분이에요. 우리 연구원들이 정말 창의성이 뛰어나요. 새로운 기법을
개
발해 사건을 해결하는데, 어쩌다보니 그게 제 공으로 되는 거예요. 사실 연구원들이 다 한 건데.” 그는 원장으로 재직하며 ‘신뢰’ ‘배려’ ‘열정’을 강조했다. 정 원장은 “사람이 서로 믿으면 말을 멋있게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투자해
개
발하면 되겠지만, 마케팅 차원에서 꼭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산 비행기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메이드 인 코리아’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세계를 날아다니는 물건이다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극장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필수CG를 비롯한 영상 기술
개
발에 종사하려면 무엇을 공부해야 할까. 앞서 이야기했듯이 수학과 프로그래밍은 필수다. 하지만 어느 한 가지만 잘 해서는 높은 곳까지 올라가기가 어렵다. “요즘에는 문과와 이과의 의미가 많이 사라지고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파고 들어가기도 한다.➒ 헬리코프리온지금은 멸종한 동물이지만 턱이 워낙 특이해 소
개
하지 않을 수 없다. 고생대와 중생대 초기에 걸쳐 살았던 이 상어는 아랫텃이 원형 톱날 모양이다.➓ 모레이장어에일리언에게나 있는 줄 알았던 이중 턱이 실제로도 있다. 입 안에 있는 또 다른 턱에는 이빨도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참조). 기껏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고 해놓고, 다시 발견하지 못한 다른 힉스 입자가 여러
개
나 있을지도 모른다니 이건 또 무슨 말일까.표준모형은 인류가 고안해낸 가장 정교하고 성공적인 이론으로 평가 받는다. 이번에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그 사실은 다시 한번 입증됐다. 하지만 아직 자연계의 ... ...
아이손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기체들이 분출한다면 그 압력과 태양의 차등중력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혜성이 여러
개
의 조각으로 부서질 가능성도 높다. 이 경우 아이손 혜성의 궤도로 봤을 때 부서진 조각들이 내년 1월 지구에 더 많은 유성우로 떨어질 것이다. 즉 예전에 봤던 유성우가 혜성에서 떨어져나온 먼지 부스러기였다면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