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스템을 고안했다. 현재 쓰나미 관측 연구는 지진계와 부표, 해저압력센서 등으로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 데이터를 추가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르지오 사바스타노 연구원은 “현재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운용하는 GPS 시스템에 바리온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실현 가능성을 실험해 왔다. 이 추력기가 실제로 작동한다면 연료 없이 태양에너지 등을 활용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것만으로 심우주 탐사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결국 지난해 11월, 해럴드 화이트 팀장이 이끄는 NASA 존슨우주센터의 이글웍스연구소 연구팀은 진공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약한) 사람은 대인관계에서 후각을 활용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사람은 땀 냄새 등 체취를 인식하는 능력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나다.수많은 연구 결과는 사람의 후각 능력에 대한 오명을 벗기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뇌가 감추고 있는 수많은 신비를 하나씩 알아가기 위해서라도 후각에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자선단체, LG, 기아자동차, 녹십자, 수출입은행, 신일기업, 김앤장, 코리아나화장품 등 여러 기업 및 개인의 후원으로 IVI는 인도주의적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IVI 유치 이후 지난 20년간 IVI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해 왔다.제롬 김 IVI 사무총장은 “IVI와 세계보건에 대한 ...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서울대 교수, 신국조 UNIST 석좌교수, 이필진 고등과학원 교수, 엄정식 서강대 명예교수 등이 과학의 패러다임에 관한 화두를 던질 예정이다.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볼 때 지식의 성장과 학문의 진보는 사유 패턴의 혁신으로 인해 가능했다”며 ... ...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힘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그 중 하나가 작업용 차량의 좌석이다. 시트나 등받이 외에도 좌석을 지탱하는 하단 부분이 둔탁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좌석의 모든 부위가 사람의 체중을 싣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물리적으로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하게 생략해 사람의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혈전증 등 보편적인 부작용이 있고,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 유방암, 심혈관질환, 심근경색 등 심각한 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이는 남성도 마찬가지라, 남성 호르몬 성분인 테스토스테론운데카노에이트를 이용한 남성 피임약이 개발됐지만 임상시험 도중 여성 경구 피임약과 유사한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발하고 있다”며 “세계적으로는 암이나 당뇨병 치료 백신, 충치 백신, 피임 백신 등 새로운 백신을 꾸준히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백신을 생산하는 세 가지 방법백신을 생산하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정란을 이용하는 방식과 세포배양을 이용하는 방식, 그리고 유전자 ... ...
- [수학뉴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직업은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데 걸리는 시간, 수학 학술지에 실릴 만큼 중요한 수학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 등 17가지에 대해 물었지요. 그리고 중앙값을 구해 시간을 예측했습니다.그 결과 스타크래프트 마스터는 6년, 차트 상위권 음악 작곡은 11.4년, 베스트셀러 소설 작성은 33년, 수학 문제 증명은 43.4년이 걸린다고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우아한 곡선, 자동차 높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바퀴, 새가 날개를 펴듯 열리는 문 등은 현재 슈퍼카의 상징이 됐다.디자인이 곧 자동차의 정체성람보르기니의 미우라가 성공을 거둔 뒤 많은 자동차 회사가 슈퍼카 개발에 뛰어들었다. 초기에는 속도가 중요했지만, 엔진 기술이 엇비슷해진 ... ...
이전6406416426436446456466476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