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수학, 놀라운 속도로 발전"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놀라운 발전 속도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현상이죠. 이것은 한국이기에, 한국
만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서울대 수학연구소 주최로 열린 ‘융합수학 서울대 포럼’ 참석차 방한한 마커스 킬 미국 미네소타대 수학과 교수는 6월 15일 서울대 상산수리과학관에서 동아사이언스와 가진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실내에서는 F 값을 작게 하고 셔터속도를 천천히 하면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하지
만
F 값은 카메라 렌즈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작게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셔터속도도 1/60 초보다 느리면 손이 떨려 흔들린 사진이 나오기 쉽다.이때 빛에 대한 이미지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쓸 수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편집자 주 - 이 기사는 미국에서 토네이도를 쫓아다니며 직접 연구를 했던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가상으로 구성했습니다. 1990년대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토네이도를 추적 ...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Part 3. 과학이
만
든 '착한 토네이도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영원히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이기 때문이다.보안업계
만
큼 직업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보람을 얻을 수 있는 분야도 많지 않다. 뚜렷한 윤리 의식을 가지고 미래 IT 보안을 책임지겠다는 역량 있는 학생들의 지원이 늘어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인류가
만
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다이옥신 흔적이 보였다”며 “이 정도의 양이 인체에 해롭진 않다”고 밝혔다. 하지
만
“고엽제가 매립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그는 캐럴 기지 땅속에서 고엽제가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엽제는 물에 잘 안 녹고 토양에 흡착되기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외골격 로봇 ‘하이퍼’의 초기모델. 연구원 한 사람이 모델이 되어 사진을 찍었다. 입고 있는 옷은 생 ... 하이퍼가 사람의 손과 팔 동작도 따라하는 기술도 곧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1~2년
만
더 기다리면 한층 더 진보된 로봇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분야에 접목시켜 개발한 ‘무통 주사기’가 좋은 예다. 이처럼 대학원에서는 하나의 분야
만
을 고집하지 않고 다른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인류에게 유용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익스트림 에너지공학을 연구하면 역학에 대한 튼튼한 기초가 있기 때문에 진출 분야가 매우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는 기회이자, 수능 성적이 뜻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 ‘보험’이다. 하지
만
현재 시점에서 수시지원을 고민할 때 가장 위험한 요소는 성적이 오를 것이란 막연한 기대감이다. 각 대학의 여러 가지 전형요소들을 충분히 파악한 후 자신에게 맞는 지원 전략을 수립하자 ... ...
Part 3. 과학이
만
든 '착한 토네이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 박물관에 있는 세상에서 가장 큰 인공토네이도. 34m가 넘는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람에게 유해한 연기를 모아 바깥으로 내보낸다.]토네이도가 발생 ...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Part 3. 과학이
만
든 '착한 토네이도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새가 사라지고 붕붕거리던 곤충마저 눈에 띄게 줄어들 줄은 몰랐지. 그래. 꿀벌은 수천
만
년 동안 속씨식물과 함께 진화한 곤충이야. 꿀벌이 갑자기 사라지면 지구의 식물이 짝을 잃는다는 걸 꿀벌이 사라지고서야 알게 됐구나….동양, 서양 꿀벌 여왕(영혼) : (부르르 날개를 떤다)미래인 : …음?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