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주변에 눈이 쌓인 면적이 넓으면 두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고 미국기상학회보에
발표
했다. 넓게 쌓인 눈이 햇빛을 많이 반사할 뿐 아니라 봄을 지나며 눈이 녹으면 증발량이 늘어 여름 장마전선을 강하게 만든다는 주장이다. 겨울에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엘니뇨)이 발생하면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먹이를 먹을 때 부리 끝의 물방울을 표면장력을 이용해 목구멍까지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발표
했다.깝작도요는 물 위를 뱅글뱅글 돌면서 초당 1.5회라는 빠른 속도로 물 위를 찍듯이 부리를 반복적으로 담그는 행동을 한다. 물을 휘저어 바닥에 있는 작은 갑각류 같은 먹이를 떠오르게 한 뒤 부리로 ... ...
잠 못 자면 '가짜 기억' 생겨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과정에서 가짜 기억이 생긴다는 결과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럽신경과학회에서
발표
했다.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한 주제와 관련된 단어목록을 외우도록 요구했다. 예를 들어 ‘흰’ ‘어두운’ ‘고양이’ ‘밤(夜)’이란 단어들을 외우게 했다. 이 단어들은 ‘검은’이란 단어와 연결될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그 결과를 미국의 생물학저널인 ‘저널 오브 프로테옴 리서치’ 6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칼비트 박사팀이 중앙아메리카살모사를 잡은 지역은 큰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살모사들끼리 최소 500만 년 이상 서로 왕래가 없던 곳이다. 흥미롭게도 카리브해 연안의 뱀은 치사율이 태평양 연안의 ... ...
음악소리 크면 술 많이 마신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게강 교수팀은 음악소리가 큰 곳에서는 많은 양의 술을 급하게 마신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이 논문은 미국 알코올 및 약물중독 위원회가 설립한 ‘알코올 중독: 임상 실험 연구’ 10월호에 실릴 예정이다.연구팀은 18~25세 남성 4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시끄러운 음악(88dB)이 나오는 ... ...
'탄소 제로 도시'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국제심포지엄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를‘탄소 중립 도시’로 만들기 위한 각종 방안이
발표
됐다. 도시 면적(72km2)의 절반을 공원 같은 녹지로 꾸미고, 태양열, 지열 같은 신재생에너지로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0%를 공급하며, 정부 청사 옥상에 정원을 설치하는 식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 ...
1. 두께 1m 얼음 깨며 나가는 북극 첨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열린 31차 남극조약당사국회의(ATCM)에서도 우리나라가 쇄빙연구선 건조 현황을
발표
하자 참가국들이 큰 관심을 보였다. 각국 대표들은 아라온을 이용해 어떤 연구를 할 수 있는 지, 쇄빙선 운항 일정은 어떻게 되는 지 질문을 쏟아냈다.아라온의 ‘온’은 ‘켜 있는 상태’를 뜻하는 영어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느는 장면을 촬영하는데 성공해 지난 6월 25일 신경과학분야 국제저널인 ‘뉴런’에
발표
했다. 위트만 교수는 “새로운 경험을 회피하지 않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면 이득을 얻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도파민은 뇌에서 신경을 전달하는데 관여하는 생체물질이다. 뇌에서 도파민의 분비량이 ... ...
'차르르' 소리로 한여름 도시 점령한 말매미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가지만 어떤 사람들은 시끄러운 소음이라고 한다. 필자는 2007년 5월 한국음향학회지에
발표
한 논문에서 남녀 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매미소리의 크기에 따른 심리변화를 검사했다. 실험참가자들은 매미소리가 63~67dB(데시벨, 소리의 크기 나타내는 단위)로 커지자 불쾌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 ...
독성 없는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위암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에 관한 논문을
발표
할 예정이다. 배 단장은 “논문이
발표
되면 위암 발병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정립해 치료법 개발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국내에서도 암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성과를 인정받아 배 단장은 2005년 ‘보령암학술상’을 받았다. 같은 해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