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권 밖의 망원경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훨씬 가까이에 위치한 것들, 즉 태양계내에 있는 행성들에 대하여도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까지는 탐사로킷을 이용하여 목성 토성 천왕성 등 외행성을 망원경을 통한 관측보다 명료하고 자세하게 관측하여 왔으며 곧 해왕성도 관측할 예정이다. 그러나 아직은 탐사로킷이 ... ...
우리의 실정은 어떠한가? 신물질이 탄생 되기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약속하고 있다. 질병과 기아, 공해로부터 해방시키고 평화롭고 풍요한 삶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필자는 확신한다. 저분자물질을 선물하는 미생물 생물공학기술을 이용한 신물질 창출법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미생물이나 동식물 단체포 배앙을 통해 저분자물질 또는 고분자물질을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편리하다. 이 신경축삭을 사용하여 펄스전송 실험을 하여본 결과 전기신호로서의 펄스가
줄
을 지은 방식에도 안정된 흔들림이 있으며 그 흔들림 방식도 심박주기의 흔들림과 많이 닮았다는 것이 밝혀졌다.이렇게 몇가지 예를 들면서 설명한 대로 음악이라는 음향진동은 생체내의 흔들림과 밀접한 ... ...
뚱보가 날로 늘고 있다 살빼기 손자병법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계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고 그 성공률도 높지 않다. 체중을
줄
일 때는 지방조직을
줄
이고 근육등의 조직은 잘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요령이 필요하다. 비만증의 정도에 따라 전체 칼로리 섭취량을 적절하게 감소시키더라도 단백질은 하루 체중 ㎏당 0.8~1. ... ...
간호사 동료 한자 사회와의 만남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키울 수 있고, 자신의 행로를 그들과 함께 하리라는 결단이 설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수도 있다.무작정 시골에서 살아가야겠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어서 마지막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농촌 벽오지에서 보건진료원으로 활동하시는 선배님들을 방문해 보았다. 진단하고 그에 따른 간단한 처치를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모른다.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융통성있는 판단을 내릴
줄
아는 기계, 지능이 높은 기계, 이런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의 두뇌안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를 먼저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와 가장 가깝게 있는 ... ...
춥고 낯선 땅에서 오히려 번성 남극주변에 실려온 북반구의 고양이·토끼·쥐·순록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탐험가 고래잡이 등과 함께 남극주변에 가게된 북반구 동물들이 오히려 토착종을 위협하고 있다. 우연에 의하거나 고의적이거나 지상의 대부분 섬에는 다소의 외래종이 있다. 그러나 대 ... 아닌 남극주변에서 이처럼 번성한 토끼나 쥐 고양이의 능력은 대단한 것으로 평가해
줄
만 하다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말이다"라는 글이 실려져 있을 정도였다.프랙탈이론은 '혼돈'이라는 문제를 해명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우연의 문제에도 도전한다.'필연이란 그 자신에 근거를 갖는 경우'라는 명제가 있다. 혼돈이 규칙적인 조각의 극한적 상태라면, 우연은 필연적인 결과의 극한적 상태가 될 수도 있다.전형적인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것이다. 물론 우리는 이에 대답할 수 없다. 또 자연과학이라는 학문이 이 물음에 해답을
줄
수있는가 어떤가도 우리는 모른다. 아마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지만.2차원의 시간 4차원의 세계에서는 타임머신처럼 시간축의 방향으로(과거 또는 미래의 방향으로) 치닫는 기계가 등장한다. 이것들은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미숙아의 대다수가 숨지지 않고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그 이후도 연구열은 식을
줄
모르고 계속되었다. 전에는 연구원들이 상상도 하지 못했던 문제에 대해서도 해명되어가기 시작했다.혈관장해도 약으로 고친다1970년대 후반에는 뉴멕시코대학의 루앤 퍼필박사가 미숙아의 뇌출혈 연구로 의학계를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