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준
견본
척도
규범
규격
본보기
규칙
뉴스
"
기준
"(으)로 총 8,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의학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체 사이의 비교를 가능하게 해 줄 일종의
기준
이 될 ‘자’가 필요한데, 국내 연구팀이 세계 두 번째, 아시아 최초로 유전체의 표준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배영경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바이오분석표준센터 선임연구원과 ... ...
[르포]'주제·일정 제멋대로' 서울서 열린 부실학회
2019.04.22
이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연구 자율성 강화와 함께 연구윤리에 대한 엄격한
기준
을 갖춰야할 한국연구재단이 최근 부실학회 관련 보고서를 잇따라 냈지만 엄밀해야 할 조사 통계가 틀리는 등 내용에 허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실 학술단체 판단에 정부가 개입할 경우 헌법에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조현병, 지척에 치료법이 있다
2019.04.20
십중팔구 돌팔이였습니다. 물론 열 명의 한 명꼴로 나았다는 보고가 있지만, 지금의
기준
으로 보면 과연 조현병이었을까 싶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라도 해도 좋을 정도로 병은 점점 나빠집니다. 그러나 다행히 치료 약이 나왔습니다. 수술 후 부작용을 줄이려는 목적의 안정제를 ... ...
“특수강·배터리 원료 바나듐 연구 속도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에너지전환시대 바나듐 확보 및 활용 전략’에서 "한국은 2015년
기준
으로 바나듐 산화물(오산화바나듐)은 세계 2위, 페로바나듐은 3위 수입국”이라며 "국가 에너지저장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광물인 바나듐의 확보와 활용을 위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은 바나듐의 세계적 ... ...
中유전자 편집 아기 협력 의혹 美 교수들 ‘참여사실 없음’ 처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전해지자 해외는 물론 중국 과학계조차 허 교수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 윤리적 도덕적
기준
을 위반한 실험이라는 것이다. 과학계는 그동안 암묵적으로 ‘디자이너 베이비(원하는 대로 유전자를 수정해 탄생시킨 아기)’를 금기시 했다. 허 교수의 유전자 편집 아기 실험에는 400개에 달하는 배아가 ... ...
죽은 지 4시간, 뇌세포가 다시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현인수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교수는 시선을 돌려, 의학 현장에서 죽음을 결정하는
기준
이 달라지면서 환자를 위한 이식용 장기 수급에도 영향이 미칠 가능성을 제기했다. 현 교수는 같은 날 네이처에 발표한 기고문에서 “대부분의 나라가 뇌 기능이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상실된 경우나 ... ...
국민 100명 중 57명 잘못된 먹거리 상식 갖고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질문의 경우 응답자의 54.4%가 '아니오'라는 틀린 답을 한 것을 나타났다. '잔류농약은
기준
치 이하라도 위험한가'라는 질문에는 68.4%가 '방사선 조사 처리식품은 방사성 물질이 남아 있어 위험한가'라는 질문에는 70.5%가 틀린 답을 냈다. 이외에도 연구팀은 먹거리 안전에 대한 정보를 주로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체결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국내 3%, 국외 2%씩 매년 줄여나간다면 세계보건기구(WHO)
기준
인 연평균 10㎍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레 예측한다”고 말했다.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이날 행사에 참석한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 ...
한국 학자 부실추정 학회 여전히 '기웃'…숫자는 급감
연합뉴스
l
2019.04.16
학술 행사에 논문을 낸 한국인 저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제1 저자
기준
월평균 발표자 수는 비트 콘퍼런스 2017년 19.3명에서 2018년 11∼2019년 3월 4.9명으로 감소했다. WRL은 19.3명에서 6.6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10월 한국연구재단의 부실학회 예방 가이드 배포 이후 참가 숫자는 ... ...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로 주목받는 문화재 방재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어려운 곳에 위치해 있어 소화 기술을 쓰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명선 문화재청 안전
기준
과 사무관은 “노트르담 대성당은 섬에 위치해 있는데다 주변이 (길이 좁은) 구도심이라 대형 방재 시설이 접근하기 어려워 현장에서 빠르게 대응하기가 힘들었다”며 “한국은 물론 전세계 문화재가 비슷한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