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명명했다. 비선형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자연 및 사회현상의 광대한 영역에 비추어
볼
때 혼돈의 발견은 아마도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지 모른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에 힘입어 20세기 과학이 거둔 실로 위대한 승리임에는 틀림없다.혼돈의 발견으로 혼돈과학이 등장했다. 혼돈과학이 시작되는 곳에서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때문에 그 파동의 형태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회로의 도움으로 음파의 모양을
볼
수 있게 하는 기계가 '오실로 스코프'다. 이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상에 나타나는 파동의 모양이 악기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모양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색(音色)이라고 한다. 그러면 큰 소리와 작은 소리는 ... ...
4. 사람에게만 서식하는 종류는 퇴치가능
과학동아
l
199402
바이러스가 세포에서 세포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초도단계의 방어기능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쓸 수 있으나 숙주특이성이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다. 사람에게는 사람인터페론만이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항체는 말에서 만든 것을 사람에 사용하여 ... ...
액정화면으로 읽는 '디지털 북' 등장
과학동아
l
199402
글씨를 지우거나 할 수 있으며 페이지는 원터치로 넘길 수 있다. 또 글씨를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는 3.5인치 플로피디스크를 쓰고 소형이고 가볍다는 점 등이다. 만원전철 속에서도 한손을 사용해 좋아하는 소설을 읽을 수 있고 수험생이 암기과목의 학습용으로 문제부분을 숨기고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또한 북반구의 해양에서 이제까지 관측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분압 자료에 근거해서
볼
때 북반구의 바다가 이렇게 많은 이산화탄소를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즉 북반구의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없다면 북반구의 육상 어디엔가에서 인위적인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일어나고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02
설치가 쉽게 PC 내부 슬롯을 차지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가격면에서
볼
때 외장형이 내장형보다 10만원 가량 비싸다. 따라서 PC 본체 내에 확장 슬롯이 다른 카드 등으로 꽉 차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비싼 외장형을 선택할 이유는 없다.물론 외장형이냐 내장형이냐의 문제는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02
그 이상의 가족들을 위해 더 큰 보금자리를 짓는다. 한 어미의 새끼는 자신의 어미가 돌
볼
뿐 아니라 같은 집에서 새끼를 키우고 있는 다른 암컷도 다른 배의 새끼를 돌본다. 과학자들은 이렇게 공동으로 새기를 돌보는 것이 다 큰 쥐가 배다른 새끼를 먹어치우는 것을 막아준다고 추측하고 있다(이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국제적으로 확산되게 됨. 렛사열(1969년), 에보라출혈열(1976년) 등1970년 미국의 티민,
볼
티모어, 바이러스에서 역전사효소 발견1971년 미국의 디너, RNA에서만 만들어지는 병원체 바이로이드 발견1976년 미국의 비숍, 바머스 등이 암바이러스의 암유전자와 같은 것이 세포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1980년 WHO,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02
영사하도록 해 시각적 상호작용을 만든다. 예를 들어 A라는 인물이 B라는 인물을
볼
때 B는 상대방의 시선을 느끼고 A의 방향을 향하며, 또 제3자 C도 이 시선의 오고 감을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것은 가상 현실의 응용에 있어 사실감의 추구를 목표로 한 것이다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02
발현되는 것이다.연구자들은 소닉 고슴도치 유전자만을 조작해서 이전의 이식 실험에서
볼
수 있었던 돌연변이들을 재현해 낼 수 있었다. 이것은 소닉 고슴도치 분자들이 말로만 알려지던 바로 그 모포겐임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과학자들은 아직 그들이 찾아낸 세개의 다른 고슴도치 유전자들의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