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
이다함교(bridgefin)에 레이더 마스트(돛대 모양의 기둥)가 있다 수면 가까이 부상해서 마스트를 올려서 물밖에 내어 사용한다 잠수함은 물 속에서 주로 활동하므로 수상함정에 비해 중요성이 크지 않다함교에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정리•빙하(glacier): 대륙에 쌓인 눈이 오랫동안 다져져 만들어진 얼음층으로 고도가 낮은
곳
으로 흘러내린다.•빙상(ice sheet): 대륙을 덮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빙붕(ice shelf): 빙상의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덩어리.•빙산(iceberg): 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덩어리.•빙모(ice cap): .. ...
5. 대한민국 쿨한 알파우먼 5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그녀의 H는 열정 Her ‘H’ is heart“어려운 수학문제를 풀 때면 누구도 가까이 가지 못하는
곳
에 다다른 듯한 희열을 느끼죠.”이렇게 ‘수학예찬론’을 펴는 최영주(48) 포스텍(포항공대) 수학과 교수는“시대나 환경에 따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를 다루는 학문이 수학”이라는 믿음이 수학을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놈, 발바닥에 머리를 늘어뜨린 놈. 저렇듯 만들다가 실패한 프라모델은 보이지 않는
곳
에 숨겨 두거나 아니면 해체해 다시 조각으로 되돌려 놓는 것이 보통이다.실패의 흔적들을 이렇듯 많이 나열해놓고 그 속에서 또다시 프라모델을 만드는 일은 흔치 않다. 대통령은 또다시 조립하던 프라모델을 ... ...
태양망원경, 해를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태양망원경은 해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30년이 넘도록 태양망원경으로 해를 관측해 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망원경은 ... 망원경을 주로 이용합니다. 해의 표면에는 자기력선이 모여서 작은 자석처럼 보이는
곳
이 많은데 이 부분이 바로 흑점 부근이랍니다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수심 2백-1천m에 존재하는 지역으로 수온이 급격히 감소하는 층해구에 있는 깊이 팬
곳
생태계 내에서 한 생물이 차지하는 먹이와 공간의 지위 즉 한 생물이 어디서 서식하며 무엇을 먹고, 무엇에 먹히며 생활하고 있는지를 뜻한다 생태적 지위가 중복되면 두 개체군 사이의 경쟁이 치열하게 ... ...
PART2 투발루여 가라앉지 마소서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속도다.연평균 증가율이 5.3mm라니 얼마 안 된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높은
곳
의 해발고도가 3.7m밖에 되지 않는 산호초 섬 투발루에게는 위협적인 수 치다. 이대로라면 60년 뒤 투발루는 영영 물속에 잠겨버릴지도 모른다. 게다가 투 발루의 해수면 최고치는 매년 경신되고 있다. 지난해 ... ...
체험! 생명과학의 현장!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초식동물로 1만2000년 전에 멸종했고, 메가테리움은 200만년 전에 살던 포유동물이다. 이
곳
에서는 최초로 영국 밖에서 전시되는 시조새, 이구아노돈, 최초의 익룡인 디모르포돈의 화석도 볼 수 있다.호메로스의 오디세이를 읽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만큼 바이오 오디세이도 제대로 둘러보려면 짧은 ... ...
마우스 조작을 눈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키를 누른 채 모니터를 보면 응시하는
곳
의 화면이 부분적으로 확대된다. 이어 확대된
곳
가운데 원하는 위치를 바라보며 단축 키에서 손가락을 떼면 클릭이 되는 방식이다.사실 과학자들은 1990년대 초부터 눈추적 기술을 연구해왔다. 위고그래드 교수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해상도 ... ...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이 용승류의 속도는 매우 느려서 1개월에 20m 정도 올라오는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곳
에는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시간이 무한히 경과해도 영원히 볼 수 없는 영역의 경계면 이 지평면을 통해 물체와 빛은 경계면 저쪽으로 갈 수 있지만 그쪽에서 이쪽으로는 올 수 없다 일방통행의 경계면인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