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재미있는 것들이 많다. 하나는 소행성에 ‘태양풍 돛’을 설치하는 것이다. 태양에서는
눈
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입자들이 쏟아져 나온다. 과학자들은 이들을 바람에 빗대 태양풍이라고 부른다. 과학자들은 지구의 위치에 맞춰 소행성에 태양풍 돛을 달면 소행성이 일종의 우주돛단배가 될 수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유비쿼터스 드림관)을 열었다. 커피 날라주는 로봇과 외출복을 골라 주는 마술 거울 등
눈
앞에 성큼 다가온 미래 생활을 살펴보자.귀족 같은 삶 즐기는 유비쿼터스 하우스“주인님, 일어날 시간입니다.”달콤한 음악 소리가 아침잠을 깨운다. 커튼이 스르륵 소리를 내며 저절로 열리고 햇살이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신중하다. 완성차 업체들과 함께 참가한 141개 자동차부품업체들도 이번 모터쇼에
눈
에 띄는 신기술들을 선보인다.지멘스VDO오토모티브는 보행자 보호장치를 출품한다. 이 장치는 차 앞에 설치한 센서로 자동차에 부딪히는 물체가 무엇인지 파악한 뒤 각종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사람이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남극점 비행은 전적으로 날씨에 달려있다. 징조가 좋지 않다. 대기 중에 얼음 알갱이들이
눈
에 띄게 많아진다. 남극점 비행 시즌이 지났다는 것을 인정해야 했다. 1주일후면 남극에 칠흑 같은 어둠이 찾아올 것이다. 남극점 비행을 다음 시즌으로 미뤄야 한다. 맥이 빠진다. 하지만 아직 돌아가는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좌뇌는 긍정적인 정서, 우뇌는 부정적인 정서를 처리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뇌는 반대쪽
눈
의 근육을 활발하게 만들고 시선은 그 쪽으로 치우친다. 뇌를 알면 삶이 깊어진다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끼니를 때웠다. 잠은 비행 중간중간 1,2분 정도 자동비행장치를 이용해 잠깐
눈
을 붙이는 것에 그쳤다. 포셋의 초인적인 체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탄소섬유로 만든 초경량 비행기글로벌 플라이어는 세계 일주를 위해 특수하게 만들어진 비행기다. 몸체가 가볍고 연료를 최대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책상 위에는 각양각색의 장난감과 전선 등이 어지럽게 놓여있다. ‘퍼비’(Furby)도
눈
에 띈다. 퍼비는 사람의 말을 따라하고 상황에 따라 ‘추워’,‘무서워’ 등 감정까지 표현하는 ‘인공지능’ 인형. 퍼비는 1990년대 말 미국에서 그야말로 인기가‘짱’이었다.크리스찬 디베네데또 박사가 퍼비를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블루투스나 USB포트를 통해 프린터에 바로 연결해 사진을 출력하는 시연회도 여기저기
눈
에 띄었다.한편 정보기술의 미래를 엿보이게 하는 첨단기술도 관람객의 시선을 모았다. 특히 뇌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기술은 관람객의 호기심을 크게 자극했다.오스트리아 업체인 구거테크놀로지스는 ... ...
매의
눈
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다짐을 하면서 소년은 마을 쪽으로 발길을 돌립니다. 매가 그런 소년의 애달픈 마음을
눈
치챘는지 소년의 뒷모습을 물끄러미 쳐다봅니다. 그리고 나직이 속삭입니다.“곧 네 꿈은 이뤄질 거야. 그리고 더 나아가 전통 매사냥을 보존할 지킴이가 될 거야.” 매사냥은 나의 꿈“제가 어렸을 적 우리 ... ...
흑백 착시현상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물체를 비추는 빛의 양인 조명, 물체 표면에서 반사하는 빛의 양 인 반사율, 물체와 우리
눈
사이에 놓여 있는 매개물의 투명도 등이 이런 요소다. 연구팀은 매개물의 투명도를 적절히 바꿈으로써 똑같은 원반이 희거나 검게 보이는 착시가 일어나도록 만든 것이다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