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여성 우주선장 탄생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인간이 우주로 진출한지 37년 만에, 우주비행에 나섰던 30여명의 여성 가운데 처음으로 여성 우주선장이 탄생한다. 주인공은 미공군 중령인 에일린 콜린스(42세). 그녀는 오는 12월 4명의 다른 우주비행사들과 함께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STS-93)를 타고 5일 동안 우주여행에 나설 예정이다. 이같은 사 ... ...
2. 달기지가 만들어진다면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옷에다 오줌을 누는 것은 당연1969년 7월 20일 달에 처음 착륙했던 아폴로 11호 때의 일이다. 닐 암스트롱에 이어 두번째로 달에 내려서던 에드윈 올드린은 그만 옷에다 오줌을 싸고 말았다. 원래 신장이 약한데다가 겁에 질렸던 것이다. 올드린은 이러한 사실을 ‘지구로의 귀환’(Return to Earth)이란 ... ...
중세) 영원히 멈추지 않는 꿈의 기관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외부로부터 동력을 주입받지 않은 채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영구기관이 존재한다면 어떨까.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에너지 고갈 문제가 무난히 해결될 것이다. 물론 현대 물리 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창조되거나 소멸될 수 없고(열역학 제1법칙), 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전환 ... ...
양자가설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막스 플랑크(Max Planck, 1858-1947)는 일생 동안 현대물리학에 중요한 수많은 업적을 이룩했다. 그 중에서도 1900년 크리스마스 무렵에 발표된 이른바 ‘양자가설’은 양자역학의 새 장을 여는 획기적인 것으로 그의 명성을 드높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양자가설은 한마디로 ‘빛의 에너지는 연속 ... ...
성도착의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사람의 성행동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 가령 동성애는 정신질환으로 취급되었으나 이제는 동성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허용하는 문제가 검토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수음은 만병의 근원으로 여겨졌으나 오늘날 대부분의 남성이 정상적인 성생활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다. 성행동 ... ...
물질세계의 사회심리학자 노만규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물질 세계에도 사회심리학이 존재하는 걸까. 이는 최근 핵물리학이 제기하는 새로운 화두다. 물질 또한 단위 입자가 모여 만든 ‘사회’이기 때문에 그들을 충돌시켰을 때는 입자 하나가 부딪힐 때와는 다른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지난 2월 프랑스 원자력청(CEA) 샤끌레 기초과학연구원에 근무하는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과연 정보화는 인류의 미래를 책임지는 21세기의 복음인가. 제반 사회 요소의 디지털화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정보화 구호 뒤에 감추어진 진짜 모습을 살펴보려는 시도가 뒤늦게 진행되고 있다. 정보화사회의 신화가 가진 허구의 현실을 진단한다. 엘리트주의에서 평등주의로뉴미디어가 ... ...
나비로 환생한 석주명의 꿈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아침부터 장대비가 쏟아지고 있었다. 숙소에 모여 앉은 학생들은 예정된 곤충채집은 엄두도 못내고 교수의 눈치만 살피고 있었다. 이때 지도교수인 오카지마(岡島銀次)가 학생들을 불러 모았다. “지금부터 밖에 나가 곤충을 채집해 오는 학생에게 상을 주겠다.” 이 빗속에 곤충이 있을 리 만무 ... ...
곰의 변신과 마리아의 수태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환웅께서는 쑥 한 단과 마늘 스무 쪽을 주시면서 말했다. “너희가 그것을 먹고 백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의 모습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곰과 호랑이는 그것을 먹었다. 21일 동안 금기를 지키자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다. …웅녀는 혼인할 사람이 없어서 늘 신단수 아래서 아기를 배게 ... ...
불확실성을 좇는 확률게임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주사위는 보통 우리가 보아 온 6면체가 아닌 14면으로 된 특이한 것이다. 통일신라 시대(7-9세기)의 유물인 이 주사위는 6개의 정사각면과 8개의 정삼각면을 가지고 있다. 주사위의 각면에는 임의청가(任意請歌, 임의대로 노래 청하기), 삼잔일거(三盞一去, 석 잔을 한 번에 보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