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스펙트럼선에 대한 연구가 주였다. 양자역학은 완성되기 이전부터 여러 분야에 응용되기
시작
해 이제는 거의 모든 물리과학 분야의 토대가 됐다. 양자역학을 활용한 역사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20세기 과학사를 처음부터 다시 이야기해야 할 정도로 방대하다. 여기에서는 20세기 중반,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데카르트는 귀납적 사유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서양 근대 철학과 과학이 이들에게서
시작
됐다. 인지심리학자이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도 과학은 엄격한 논리적인 절차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우리가 과학이라고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충분한 이론적, 경험적 배경에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좋아하긴 하지만 공부를 많이 하진 않아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상담 선생님은 꿈을
시작
해서 만들어가는 과정인 청소년들이 미리 내려지는 평가에 좌절하는 것을 안타까워했다. 지금까지 해 놓은 걸 평가하는 게 아니라 앞으로 할 것을 얘기할 때라는 것이다. “로봇공학에 네가 좋아하는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결론을 냈습니다. 교실의 조도에 관한 위 실험은 방과후 수업 때문에 오후 3시에 실험을
시작
했습니다. 오후 3시~4시경은 그리 밝지 않고 실험을 한 날은 약간 흐린 날이었기 때문에 같은 시각 평균 밝기보다 어두울 것이라 생각하고 결과를 해석했습니다. 조작변인 이외에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야기를 가져라애니메이션을 이어가는 이야기는 캐릭터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에서
시작
해요. 캐릭터 각각의 이야기가 얽혀서 애니메이션 전체의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거지요. 만약 캐릭터에 대한 이야기가 아예 없거나, 터무니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관객들은 애니메이션의 이야기에 감동받을 수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화기 개발을 두려워한 명나라 황실이 극비리에 조선의 화포연구소를 습격하는 이야기로
시작
한다. 이때 연구소 도감 ‘해산’ 은 신기전 개발의 모든 것이 담긴 ‘총통등록’ 을 외동딸 ‘홍리’ 에게 들려 피신시키고 자신은 자폭한다. 명나라는 계획에 실패하자 대규모 사신단으로 위장한 무장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돕는다. 무엇일까? 바로 선수 유니폼에 새겨진 숫자다. 1920년대 후반 영국에서 처음 달기
시작
한 등번호는 점차 국가대표팀 간의 정식경기인 A매치와 월드컵에 쓰이면서 지금은 필수가 됐다.브라질의 펠레와 호나우지뉴, 아르헨티나의 디에고 마라도나와 리오넬 메시,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 독일의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있습니다.우리 영재교육원은 전국에 있는 25개 대학 과학영재교육원 중에서 가장 늦게
시작
했습니다. 하지만 갯벌·해양 생태체험과‘최고과학자와의 만남’과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정부와 언론으로부터 좋은 평을 들었지요. 그 덕분에 저는 지난해 대한민국 과학문화상을 수상했습니다.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시작
했다. 이에 따라 의식 연구가 과학 연구의 대상으로 들어오기
시작
했다. 의식이 지배하는 마음과 물리 현상(체내 전기 화학적 상호작용) 사이의 관계를 파헤쳐 ‘의식의 신경과학적 근거(NCC)’를 확립하고자 한 것이다.남은 문제 또다른 혁명을 꿈꾸며대부분의 연구자들은 ... ...
꼬꼬면에 숨어 있는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쫄깃쫄깃한 면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와 감자전분의 함량을 조절하는 배합실험부터 다시
시작
했다. 30회가 넘는 실험 끝에 최적의 조건을 찾아냈다. 그래도 기대만큼 쫄깃쫄깃한 면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면의 수분함량을 높이고 기존 라면보다 더 구불거리게 만들어 면의 탄력을 강화시켰다.비결 3.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