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노벨평화상 수상자 또는 소련 반체제학자로 널리 알려진 사하로프는 현대 물리학의 핵융합이론 반물질이론 중력이론 등에 커다란 공헌을 한 ... 1967년에 발표한 두 개의 논문은 1~2장으로 정리한 매우 짧은 논문이었으나 우리의
우주
관을 바꿀 수 있을 정도로 높은 독창성을 지닌 것이었다 ... ...
방사능 폐기물처리 전세계의 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전세계적으로 골치거리가 되고 있으나 이렇다할 해결책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 날려버리자거나 남·북극의 만년빙아래 묻어두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으나 모두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 방사능 폐기물처리 방식에는 세가지가 있다.첫째는 미국에서 하는 것으로 ... ...
물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아울러 플라즈마 연구는 핵융합뿐만 아니라
우주
과학 가속기 레이저 동위원소분리 그리고 천문학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그룹 연구의 활성화이상의 두가지 예가 우리나라의 국력을 과시하고 선진국 대열에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 ...
항공·
우주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rotor) 추력 전환식 도시형 헬기' 등이 뒤를 이을 것이다.궁극적으로 항공기와
우주
선은 '
우주
항공기'라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며, 이미 선진국들은 이에 대해 집중연구를 시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1세기의 혁신적인 항공교통수단 출현에 대비하여 '21세기 항공교통망 구성'이라는 장기적인 연구가 ... ...
정보화 사회를 향한 기차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진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곧 인류는 전자라는 한 미시적인(micro) 존재를 발견함으로써
우주
라는 거시적인(macro) 존재를 알게 됐다고 할 수 있다.정보(情報)란 이 전자라는 지극히 작은 알갱이에 부가가치를 더한 개념으로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곧 전자는 크기와 질량을 가진 실재하는 가치중립적인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러한 거대한 검은구멍들이
우주
초기 거의 동시에 태어났다면 이들이 방출한 중력파는
우주
공간에 균일하게 퍼져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복사'(back ground radiation)를 관측할 수만 있다면 벽에 부딪힌 현대 은하형성론(galaxy formation theory)도 큰 도움을 얻게 될 것이다.중력파는 이외에도 X-선을 ...
대 해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조금씩 그리고 해마다, 눈은 많이 쌓이게 된다. 이런일이 진행될수록 보다 많은 햇볕이
우주
공간으로 반사되며 눈은 맨땅보다 반사를 잘 하기 때문에 지구가 따뜻해질 기회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여름은 계속 보다 서늘해진다.그리하여 서서히 빙하가 형성되고 남으로 뻗쳐 내려간다. 남으로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볼 수 없는 전자들을 우리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이다.또
우주
선을
우주
로 쏘아 올리기 위한 기구를 만들려면 제어공학의 도움이 필요하다. 자기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수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즉각 위치를 수정하는 일 등은 전자공학의 도움이 아니고서는 할 수 없는 것이다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집중 조명했다.퀴즈로 배우는 최신과학(에도리 아키오 지음, 김진욱 옮김, 범우사)
우주
·지구 물리·전자 인체·생물 일반상식 문야로 나누어 일반인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의문점에 대해 서술했다.현대인이 알아야 할 과학상식(한종선 편저, 명지출판사)현대의학 전자 군사분야에서 알아두어야 할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
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반드시 서양 중심의 세계관만 옳다고 할 수 있겠는가? 우리의 선조인 홍대용의
우주
관도 당시의 틀 안에서 해석하면 얼마나 이치에 타당하며 자연의 질서를 잘 대변하고 있는가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