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약수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공약수에 대해 알아보자. 공약수는 둘
이상
의 수가 함께 가지고 있는 약수를 말한다. 공(통인)약수를 구하려면 일단 각각의 약수를 구해야 하지만 좀 더 쉽게 구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24와 27을 생각해 보자. 두 리본의 차는 3cm다. 이 3cm의 리본을 단위로 해서 두 리본을 재어 보자. 만약, 두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개기일식도 굉장히 드물다. 지난 7월 22일에 일어난 개기일식은 지속 시간이 최대 6분
이상
으로 최근 일어난 개기일식 중에서 가장 길었다. 하지만 개기일식을 아주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비행기를 타고 구름 위로 올라가 달의 그림자를 따라가는 것! 그렇게 하면 장장 한 시간이 ... ...
척! 보면 딱! 안다, 배수판정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된다.③ 4의 배수십의 자리 수 이하 두 자리 수가 4의 배수인지 확인한다. 백의 자리
이상
은 항상 4의 배수이고 4의 배수끼리 더하면 항상 4의 배수다. 그러므로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만 살펴보면 된다.④ 3의 배수각 자리 수의 합이 3의 배수인지 확인한다. ⑤ 9의 배수각 자리 수의 합이 9의 배수여야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모두 이식받은 췌도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해 혈당수치가 낮아졌다. 그 가운데 2명은 더
이상
인슐린을 투여하지 않아도 될정도로 회복됐다.이종장기이식이 현실화될 경우 가장 먼저 혜택을 받게 될 질병은 당뇨병일 가능성이 크다.당뇨병의 발생 장소인 췌도가 다른 장기에 비해 알파갈이 적기 ... ...
“꽃가루를 사수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바로 밖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물받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종 중 절반
이상
의 꽃은 꽃가루가 빗물에 그대로 노출됐다. 이 가운데 13종은 희한하게도 물에 잘 젖지 않는 ‘방수’ 꽃가루를 갖고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비로부터 꽃가루를 보호하기 위해 꽃이 스스로 형태나 구조를 다양하게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없습니다. 그런데 렌즈 크기가 빛의 파장 길이 정도가 되면 기존의 기하광학 원리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이번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물리학과 김필립 교수는 저널에 실린 주요 논문에 대해 토론을 하는 자리인 ‘네이처 포드캐스트’에서 이렇게 설명했다. 기하광학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공식을 적용해 설명하려는 시도가 늘면서 실제 뇌와는 사뭇 다른, 과학자들이 원하는
이상
적인 뇌를 구현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인공물에 점점 의존해가는 인간의 행동패턴도 제2패러다임인 현재의 뇌과학만으론 설명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인지과학의 제3패러다임이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줄어든다. 자동차 내부의 모든 전기 시스템 소재를 단결정으로 바꾸면 에너지를 10%
이상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 전체의 무게도 줄고 전기 소모량도 감소하기 때문이다.이 같은 장점 덕분에 단결정 소재는 이미 국내외 산업계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가까운 예로 매일 들여다보는 시계도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강호순을 검거할 때에도 수원 경기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계 소속의 프로파일러인
이상
훈 팀장과 이유라 경장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런데 현장을 뛰는 프로파일러가 드라마 속 신류처럼 반드시 박사 학위 소지자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프로파일링을 포함한 범죄심리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취득한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생긴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몇 가지 예측을 내놓는다. 우선 제기되는 건 전기장비의
이상
이다. 총알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발사체 안에 있던 부품에 문제가 일어났을 수 있다는 뜻이다. 극한 환경이 만든 오류다.서울대 윤영빈 교수는 “전기장비에 문제가 나타나면 로켓의 궤도를 잡는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