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수학동아 l2011년 08호
- 그 이야기는 동우에게 넘길게요. 수학에도‘농도’가 있어요!액체의 묽고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농도만 있는 줄 알았는데, 수학에서도‘농도’란 개념이 있어요.수학에서 농도는 두 집합의 원소가 일대일 대응이 될 때,‘두 집합의 농도가 같다’라고 말해요. 자연수와 짝수, 홀수, 정수, 유리수 ...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이기려면 창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걸어줘야 해요. 또한 목표하는 방향보다 6°정도 오른쪽으로 던지는데, 양력을 최대로얻기 위해서죠. 그림에서 보듯이 시계방향으로 도는 창에서는 창 위쪽의 공기흐름이 아래쪽보다 빨라요.‘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흐름이 빠른 곳은 압력이 낮아져요. ...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격자의 변 길이가 수km면 슈퍼셀의 구조를 어느 정도 분석할 수 있다. 수십~수백m 정도로 짧아지면 슈퍼셀뿐 아니라 토네이도도 분석할 수 있다.문제는 격자가 작아지면 계산할 양이 많아져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었다. 토네이도가 출현할지 계산하는 동안 토네이도가 나타날 수 있다는 얘기다. ... ...
- Intro. 범죄에 빠진 해킹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사고도, 해커의 수도 크게 늘었다.하지만 해킹과 보안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은 비참할 정도로 낮다. 우리가 컴퓨터를 포기하지 않는 한, 인터넷을 차단하지 않는 한 해킹 공격은 사라지지 않는다. 공격 대상도 웹사이트와 통신 시스템을 벗어나 교통, 발전소, 자동차 등의 사회기반시설로 확대되고 ... ...
- Part 2. 해킹 Hacking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경계가 분명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보안 실습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해킹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대단한 착각이며 오해임을 분명하게 말해둔다.종종 해킹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기업에서 채용한 외국 사례가 있다면서 그런 방식으로 실력을 인정받으면 ...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혀가 국자처럼 물을 퍼 올리는 양은 혓바닥 끝으로 끌어올리는 물의 양에 비하면 무시할 정도라고.그렇다면 이렇게 해서 입안으로 들어간 물은 어떻게 목을 넘어가 위로 들어갈까. 아무리 고속촬영을 해도 입안에서 일어나는 일은 알 수 없다. 연구자들은 조영제인 바륨이 들어간 우유를 마시는 개의 ...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장비의 감도를 최대한 높여 분석했을 때 극미량의 다이옥신 흔적이 보였다”며 “이 정도의 양이 인체에 해롭진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고엽제가 매립되지 않았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그는 캐럴 기지 땅속에서 고엽제가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그리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않으면 먹는 항진균제를 2~6주 복용한다. 이 약으로 무좀의 원인인 피부사상균을 70% 정도 죽일 수 있다. 항진균제를 먹을 때 간 기능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간이 안 좋으면 약을 분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실제로 항진균제 ‘케토코나졸’은 간 독성 위험이 높다는 게 밝혀지면서 지금은 ...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이 굴뚝은 1.25mm 두께의 철판으로 지었으며 온실의 면적은 4만 6000m2였다. 전기를 50kW 정도 생산했다. 하지만 이 태양굴뚝은 폭풍에 쓰러져 1989년 결국 해체됐다.호주의 신재생에너지회사 ‘엔바이로미션’은 2003년 전기를 200MW 생산할 수 있는 1000m 높이의 태양굴뚝을 고안했다. 현재 이 회사는 미국 ...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좀 많이 했지. 전 세계 속씨식물(꽃이 피며 밑씨가 씨방 안에 있는 식물) 가운데 20만 종 정도가 곤충 덕분에 꽃가루받이를 하고 있는데, 그 중 85%(17만 종)가 우리 꿀벌의 도움을 받는단다. 꿀벌이 없으면 아예 꽃가루받이를 못하는 종만도 4만 종이나 돼. (뒤영벌을 가리키며) 지금 네가 앉아 있는 ... ...
이전6416426436446456466476486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