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와 같은 고용량 자동화처리기법을 통해 그리고 완성된 게놈 정보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진행
될 수 있게 됐다는 사실을 의미한다.앞으로 이런 대단위의 단백질 연구는 게놈 분석과 마찬가지로 인간이란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데 결정적으로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또 1958년 뉴욕 미술관의 화재로 손상된 인상파 화가 모네의 대작 ‘수련’의 복원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 그림은 완전히 불타버려 현재 몇조각의 검게 그을린 조각만이 남아 있는 상태다. ‘수련’의 잔해를 통해 그림을 완전하게 복원하는 NASA의 실험이 성공한다면 미술품 복원의 역사가 새로운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현재의 소자인 DRAM과는 달리, 기억이 지워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마지막으로는 현재
진행
되는 나노소자 중 그 집적도가 가장 높지만, 실제로 쓰이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 같은 원자소자가 있다. IBM 연구소의 아이글러 박사는 수십개의 원자를 금속 표면 위에 타원형으로 배열한 후, 타원의 한초점에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있었다는 루머가 나돌기도 한다. 어쨌건 벤터박사의 획기적인 연구방법과 진취적인 사업
진행
을 보면 인간게놈에 대한 그의 도전정신과 실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2001년 2월 12일에 있었던 셀레라의 게놈발표 현장에서 벤터박사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는 이 시점은 세계의 모든 과학자들에게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증상으로 나타나며, 체내 비타민 C의 저장량이 3백50mg 이하로 감소했을 경우 괴혈병으로
진행
될 수 있다. 교원질의 합성, 신경전달 물질의 합성, 철분의 흡수, 상처 회복 등에 문제를 초래하고 심하게 결핍되면 생명까지 위험할 수 있다.사실 비타민 C의 효능은 의학자들 사이에서도 끝없는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웃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이미 수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진행
돼 왔다. 지난 1998년 미국 LA 소재의 캘리포니아 대학병원의 이차크 프리드 박사는 간질병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왼쪽 전두엽을 전기로 자극해 웃음 지역을 찾아냈다. 그는 뇌에서 간질 발작을 일으키는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바스켓을 향해 던진 농구공을 자세히 보라. 그냥 밋밋하게 날아가는 것이 아니라 공의
진행
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슈터가 슛을 하는 마지막 순간 손목과 손가락의 가벼운 스냅으로 공에 역회전을 준 것이다. 왜 농구공에 역회전을 거는 것일까.농구공이 바스켓 뒤의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1988년 국립보건원(NIH)과 에너지성(DOE)은 인간게놈프로젝트
진행
에 합의했다.1990년 다국적팀에 의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다.1994년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는 다국적팀에 대항해 게놈연구를 시작했다.1996년 효모의 전체 게놈이 해독됐다.1998년 선충의 전체 게놈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약물의 주된 목표로 생각되자 단백질의 구조와 특성을 알아내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
되고 있다. 이런 작업을 총체적으로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고 부른다. 단백질은 종류가 너무 많아 아직까지 완전히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도 상당수이지만 발현되는 양이 너무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프리온이 변형 프리온으로 전환되는지, 변형 프리온은 어떤 경로로 병을 유발하고 병을
진행
시키는지 등을 제대로 밝힐 때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이 원활히 이뤄질 것이다.현재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CJD와 vCJD을 확인하는 방법은 발병환자가 사망한 뒤 뇌를 부검해서 뇌조직에 생긴 스펀지 ... ...
이전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