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1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스텔스 기술’ 전파는 물론 소리-빛까지 속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적외선 추적 장치는 적외선으로 열을 추적한다. 열 추적 회피 기술은 연세대 기계
공학
부 한재원 교수 팀도 올해 초 개발한 바 있다. 연구팀 관계자는 “열 추적 미사일의 공격을 피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이라고 말했다. 메타물질 기술로 현재 운영 중인 첨단 스텔스 전투기의 단점도 보완할 수 ... ...
물 위에 띄워두기만 하면 햇빛 받아 수소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있어 수소연료 상용화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용기중 포스텍 화학
공학
과 교수팀은 이승협 한국세라믹기술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스마트 인공광합성’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인공광합성은 나뭇잎의 광합성 원리를 흉내 내 만든 기술이다.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 ...
소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튀어나가는 원리로 전지를 만들었다. 김영식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
부 교수팀은 세라믹 전해질을 이용해 바닷물 속에서 작동하는 전지를 만들었다. 바닷물에 넣으면 소듐이온이 전지와 바닷물 사이를 이동하면서 작동한다. 원 모양과 작은 사각형 코인셀을 연구원이 들어 ... ...
상처나 찢어진 피부, 빛으로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8
GIB 제공 SF영화나 애니메이션, 게임 속에서 주인공이 입은 깊은 상처는 언제나 성스러운 빛을 쐬고 나면 말끔하게 낫는다. 이런 판타지 소설속 마법과 같은 의 ... 이 연구는 지난 9월 11일 나노 분야 학술지 ACS Nano에 게재됐다. 한세광 포스텍 신소재
공학
과 교수 - 포항공과대학교 ... ...
뜨는 수시와 학종, 과학동아로 준비
과학동아
l
2017.09.27
진로를 설계하고 학생부 항목을 채워나가는 비법을 담았다. 이혜빈 서울대 화학생물
공학
부 학생은 “매달 과학동아에서 저의 진로와 관련된 기사를 스크랩한 덕분에 반도체나 연료전지를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알게 됐고,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나노 촉매 개발 분야에 기여하고 ... ...
박찬국 서울대 교수팀, 실내항법 경연대회서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박찬국 서울대 기계‧항공
공학
부 교수팀이 일본 홋카이도대에서 열린 2017 국제 실내 항법 경연대회(IPIN 2017) 스마트폰 부분에서 우승했다고 26일 밝혔다. IPIN은 실내 위치 인식 및 항법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국제학회로 2014년부터 경연대회를 주최했다. IPIN 2017 시상식에 참석한 연구팀. 왼쪽 두 ... ...
초고속 수소 가스 검출 센서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기체 유출을 빠르게 탐지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일두 KAIST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은 레지날드 페너 미국 UC어바인 화학과 교수와 함께 대기 중 1% 농도의 수소 가스를 상온에서 7초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수소 가스는 작은 불꽃에도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가연성 ... ...
26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공식 출범… 위원장에 장병규 블루홀 이사회 의장
동아사이언스
l
2017.09.26
부산대 경제학부 교수 △이희조 고려대 통신
공학
부 교수 △임춘성 연세대 정보산업
공학
과 교수 △한재권 한양대 산학협력중점교수 △강수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재용 국토연구원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가 예측한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로 선정된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
공학
·고분자
공학
부 교수(57·사진)는 연구를 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믿음 외에는 특별한 비결이 없었다며 이처럼 말했다. 21일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의 연구실에서 박 교수를 만났다. 박 교수는 2007년 등장과 동시에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델피니딘에 당을 결합시켜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렇게 탄생한 파란 국화는 지금까지 생명
공학
기술로 피어난 파란 꽃들 가운데 가장 파랑에 가깝다. 닐 앤더슨 미국 미네소타대 원예학과 교수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번에 개발된 파란 국화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 ...
이전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