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장
사고
공사장
뉴스
"
현지
"(으)로 총 8,02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이 생존하기 가장 어려웠던 해는 536년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536년에 화산폭발이 있었고, 이후 수년간 대기근과 병으로 많은 사람이 사망했다고 14일(
현지
시간) 고고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 ‘앤티쿼티’에 발표했다. 아일랜드 연대기에 따르면 536년에 알 수 없는 안개가 지구 곳곳의 하늘을 덮었다. 이때부터 539년까지 대기근이 이어진 것으로 기록돼 ... ...
차세대 소형위성 1호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차세대소형위성 1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발사관리단을
현지
에 추가로 파견하고 발사준비 상황을 종합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1992년 한국최초로 발사된 인공위성 ‘우리별’의 계보를 잇는 과학실험 위성으로 개발됐다. 우리별 ... ...
[여기에 과학] 새에게 개기일식은 '큰 폭풍의 서막'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벌어질 때 나타나는 동물의 행동이 큰 폭풍이 오기 전과 닮아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15일(
현지
시간)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했습니다. 하늘 높이 나는 새들의 움직임에서 이 같은 결과가 확연히 드러난 것입니다. 연구진은 지난해 8월 21일 개기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미국 내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
과학동아
l
2018.11.16
역사적인 현장입니다.” 요아킴 율리히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부의장이 16일 오후(
현지
시각) 프랑스 베르사유에서 열린 제26회 국제도량형위원회에서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국제단위계(SI)의 7개 기본단위 중 4개 단위에 대한 기준을 바꾸는 회원국들의 최종 투표 결과를 선언한 직후였다.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
2018.11.16
베르사유에서 열리고 있는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에 참가한 53개국은 16일 오후 1시 30분(
현지
시각)까지 진행된 찬반 투표에서 4개 기본 단위를 변하지 않는 물리학 상수를 사용한 새로운 기준으로 재정의하기로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이로써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kg)과 전류 단위 암페어(A), ... ...
韓·스위스, 건축 심리 교류 추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6
이뤄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위스 연방교육연구혁신청(SERI)과 16일 오전(
현지
시간) 스위스 베른에서 ‘제5차 한-스위스 과학기술공동위원회(이하 공동위)’를 열고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먼저 건축 분야 양국 공과대학 사이에 대학원생 교류 프로그램이 추진된다. ‘한국의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지름 1.5㎞ 규모의 소행성에 가까운 운석이 부딪혀 생긴 거대 충돌구를 확인했다고 14일(
현지
시간)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충돌구 지름은 약 31㎞로 프랑스의 수도인 파리 면적보다 넓다. 지구에서 발견된 대형 운석충돌구 중 크기로 25위에 해당한다. 연구진은 미국 ... ...
땅위 인공태양 대용량 데이터 대륙간 전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사진 왼쪽)와 김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연구원(오른쪽)가 지난 13일(
현지
시간) 미국 댈러스에서 열린 '슈퍼컴퓨팅컨퍼런스 18'에서 빅데이터 익스프레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제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14일 대용량 과학 데이터 전송 미들웨어 ... ...
기후변화가 남성 불임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곤충의 자손이 가진 정자가 세대를 거칠수록 점점 더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발견해 13일(
현지
시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곡물 가루에 많은 해충으로 연중 모든 생육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곤충으로 딱정벌레목의 거짓쌀도둑거저리 (Tribolium castaneum)을 실험 대상으로 ... ...
中, 핵융합 잰걸음…상용화 관건 ‘플라스마 1억도’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실용화해 화석연료를 대체하겠다는 중국의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셈이다. 12일(
현지
시간) 중국과학원(CAS)은 “‘실험용고성능초전도토카막(EAST)’을 이용해 플라스마를 섭씨 1억 도까지 가열하는 데 성공했다”며 “핵융합로의 안정적인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켰다”고 ... ...
이전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