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00"(으)로 총 10,00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체험디렉터 추천 과학체험 100] (1) 환상적인 디지털 테마 파크 'teamLab World'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표현한 아름다운 그래픽 덕분에 따뜻한 생태계 순환의 메시지를 느낄 수 있는데요. 특히 100년간 해수면이 상승하며 일어나는 환경 문제를 애니메이션으로 풀어낸 “백년해도권 애니메이션 디오라마”는 꼭 바닥에 누워서 관람하길 권합니다. 벽면, 천장, 바닥 모두 빛으로 둘러싸인 “크리스탈 ... ...
- 유전자 편집기술 ‘크리스퍼’ 효율 100배까지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안전성 검증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기존 기술보다 30~100배의 비용 및 노동력 절감 효과가 있어 유전자가위 실용화에 큰 보탬이 될 전망이다. 김형범 연세대 의대 연구진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의 일종인 ‘CpF1’을 대량으로 빠르게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을 ... ...
- 네이처가 뽑았다! 당신이 알아야 할 2016년 최고 과학자 10명!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한 바퀴 돌죠. 연구진은 프록시마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은 셈입니다. 네이처 제공 ■ 물리학계의 무지개, 엘레나 롱 핵물리학자 엘레나 롱 미국 뉴햄프셔대 박사후연구원은 물리학계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만들어 얻은 X선 회절 데이터를 분석해 제안한 구조가 맞다는 걸 증명했다. 노벨상 100주년을 맞아 크로토가 디자인한 화학상 부문 우표 그 뒤 1991년 일본 NEC연구소의 이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풀러렌이 길쭉해진 구조인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하면서 나노과학이 급부상했다. 스몰리 교수는 나노과학 ... ...
- 빌 게이츠 재단 지원 받는 첫 국내 과학자 권오석 생명硏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6.12.19
- 일반 환자의 100분의 1에 불과하다. 권 연구원은 “보균자를 진단하려면 기존 기술보다 100배 이상 정밀도가 높은 진단키트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연구원은 혈액 한 방울로 여러 암을 진단하는 키트 등 나노물질을 이용한 감별 기술을 연구해 왔다. 전 세계 말라리아 키트 시장의 60%를 ... ...
- 예술까지 하는 드론, ‘드론 100대의 예술’ 팝뉴스 l2016.12.18
-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불빛을 만들었다. 불꽃놀이와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드론 100대의 예술 영상’은 온라인은 물론 SNS에서도 화제의 인기를 끌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 ...
- [지뇽뇽의 色수다] (ep4) ‘관계’, 몇 번 하는게 제일 행복할까?2016.12.18
- 2250명의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지금 뭘하고 있는지, 기분이 어떤지(0 = 매우 나쁨 – 100 = 매우 좋음)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일상 생활에서 하는 다양한 활동들 중 성관계가 가장 큰 긍정적 정서를 주는 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오른쪽에 위치할수록 긍정적 정서를 유발, 원의 크기는 활동의 ... ...
- [ESC의 목소리(7)]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정책 제안2016.12.17
- 검증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해서 전 세계에 클러스터를 조성해 연구를 진행했다. 결국 100년 만에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를 검출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 유럽과 일본은 대학 뿐 아니라 대학과 국가 연구소의 코어 그룹들과 연계해서 연구 클러스터를 만들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 ...
- ‘3차원 그래핀’부터 원자 한 개로 이어진 초미세 전선까지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봐도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많다. 김은준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 연구팀은 뇌 속 100조 개 시냅스의 조절 원리를 밝혀 정신작용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허원도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그룹리더 연구팀은 빛을 이용해 살아있는 생물 조직의 세포를 제어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발전시켜 생쥐의 ... ...
- 60만개로 조각난 지구, 동물은 죽어 간다 동아사이언스 l2016.12.16
- 드러났다. 놀랍게도 넓이가 1㎢ 미만인 땅 조각은 전체 조각 갯수의 절반 이상이었다. 100㎢ 이상인 조각의 갯수는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세계의 도로 정보를 모은 ‘오픈스트리트맵(OpenStreetMap)’과 ‘쥐로드(gROADS)’를 분석하고, 도로가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논문 282편을 추가 조사한 ... ...
이전6436446456466476486496506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