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강 수학도시는 어딜까?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도시대항 국제수학토너먼트는 대회 자체가 대표선발전이라고 했었죠? 도시대표는 어떻게 뽑는 걸까요? 또 모든 대회에는 상이 있는 법! 어떤 기준으로 상 ... 가린다 꿈의 대회 창시자는 나! 콘스탄티노프 이런 수학
문제
봤나요? 기억 속에 남는 아름다운 수학
문제
최강 수학도시는 어딜까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적 추론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집합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교과서와
문제
집 속에 숨은 의미와 그림자 찾기!서로 다른 학교에 다니는 학생도 수학 교과서만큼은 비슷해 누구나 같은 내용을 공부하게 돼요. 하지만 같은 내용을 담은 수학 교과서라도 보는 시각을 다르게 한다면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살게 될 것이다. 혼잡해지는 교통, 각종 안전
문제
등을 해결하려면 ‘M to M(Machine to Machine)’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박민 _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분자하이브리드센터 책임연구원2020년 경에는 물질혁명이 일어날 것이다. 물질을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를 이용하면 생산공정에 최적화된 미생물을 마음껏 합성할 수 있어 현재 대사공학의
문제
점을 해결할 수 있다. 크레이그벤터연구소의 대니얼 깁슨 박사는 “5~10년이면 합성세포를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은 미생물이 만들지 못하는 화합물도 합성세포를 통해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주엘리베이터가 이렇게 빨리 건설될 가능성은 적다. 재료나 기술
문제
가 어느 정도 해결돼 있다고 하더라도 우주엘리베이터 건설에 착수할 동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로켓 우주여행 비용이 부담스럽게 느껴지기 시작할 때쯤이면 우주엘리베이터 건설이 시작되지 않을까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9월 발표한 성명서 역시 멸종위기 조류와 포유류의 86%, 양서류의 88%가 순전히 서식지
문제
로 위험에 빠졌다고 밝히고 있다.인간 활동에 의한 멸종은 각종 통계와 연구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잃어버린 진화’는 지구의 척추동물 중 19%가 곧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 생물의 수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인정받아 대회를 개최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가 내리면서 상황이 좋지 않게 됐다.
문제
는 갓 포장한 서킷의 아스팔트에서 나온 기름막이 빠지지 않고 표면에 남아 도로를 미끄럽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기를 마친 한 드라이버는 “마치 얼음판 위에서 달리는 것 같았다”고 표현했다.이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들려줬다.그녀는 수학을 무척 잘하고 좋아하는 여학생이었다. 논리적으로 풀어서
문제
를 해결했을 때의 기쁨은 다른 과목에서는 맛볼 수 없는 즐거움이다. 모혜정 교수는 수학의 질서정연한 아름다움에 빠졌지만 수학을 전공하기 보다는 수학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새로운 응용 과학을 공부하고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선뜻 수술대 위에 오르려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몇 년 안에 이런
문제
는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신형철 한림대 의대 연구팀은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세포의 산소 소비량을 읽는 기술을 이미 연구 중이다. 근적외선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다. 안과에서 망막의 형태를 검사할 때 실제로 쓰고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어렵다. 게다가 의사와 간호사 자격시험
문제
는 공개되는 반면 한의사 자격시험
문제
는 비공개다. 한의학이 외부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길을 하나 막아버린 셈이다.선진국에서 한의학을 주목하고 있다는 주장 역시 과장이라는 평가다. 조정훈 원장은 “세계의 다양한 전통 의료 중에서 효과가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