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91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현상이 관찰됐던 것. 참고로 엔겔 교수는 2007년 플레밍 교수팀의 박사후연구원으로 당시
논문
의 제1저자였다. 실제 광합성계보다 훨씬 간단한 분자에서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인공광합성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말이다. 기존 이론에 따르면 양전자의 비율은 에너지가 높을수록 떨어져야 한다.
논문
에는 ‘새로운 물리 현상’이라는 정도로 썼지만 연구자들은 이런 여분의 양전자가 암흑물질에서 비롯된 게 아닌가 하고 기대하고 있다. 즉 유력한 가설에 따르면 암흑물질은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 ... ...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최근에는 하루 커피 두세 잔은 몸에 좋다는 얘기가 많이 들린다. 커피와 건강에 관한 연구
논문
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긍정적인 내용도 많지만 모순적인 결과도 많다. 커피 원두는 식물의 씨앗으로 그 안에 수백 가지 분자들이 들어있는데 여기에는 카페인 뿐 아니라 항산화 효과를 내는 물질을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연이어 엄청난 발견들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10월 12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
은 그 정점으로, 시베리아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된 수만 년 전 미지의 인류(데니소바인으로 명명)의 손가락뼈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게놈을 거의 완벽하게 해독했다는 내용이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과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노골적인 제목의 글이 한 편 실렸다. ‘호르몬으로서의 식품(Food as a Hormone)’이라는 해설
논문
으로 식품의 영양성분이 세포내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켜 대사건강을 조절한다는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앞서 토브스 칼럼의 확장판인 셈이다. 미국 신시내티대 대사질환연구소의 캐런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 결과 세포가 호르몬의 조절작용을 잘 따르지 않게 돼 증상이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논문
에서 “암렉사녹스는 오래 사용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라며 “비만과 당뇨 치료제로 재활용될 좋은 기회”라고 언급했다.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상당한 자금이 투입된 약물이 10%도 안되는 확률의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미시건대 인류학과 마사코 푸지타 교수팀은 2012년 9월 ‘미국 자연인류학저널’에 실린
논문
에서 아프리카 케냐의 농업목축을 하는 아리알(Ariaal) 부족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지위와 자녀 성별에 따른 모유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이 성립한다고 밝혔다. 즉 부유할 경우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운석(meteorite)이다. 1958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필립 위아트 교수는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에서 퉁구스카 사건이 반물질 유성체가 물질로 이뤄진 지구 대기에 부딪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즉 우주 저편 어디선가 반물질로 이뤄진 은하에서 날아온 반물질 천체가 운 좋게 물질과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아인슈타인은 답장에서 이 부분은 언급하지 않았다. 사실 아인슈타인 역시 자신의 1905년
논문
에 대해 만족하지 못했다고 한다.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 설정한 점입자라는 가정을 하젠욀처럼 부피가 있는 입자로 바꿔 즉 일반화해 증명하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E=mc²에 대한 진정한 일반화된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뒤 평범한 환경에서 사는 고세균도 여럿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우즈도 1990년
논문
에서 새 용어 Archaea(번역어로는 여전히 고세균)를 썼는데 부적절한 고(archae)를 고집하고 있어 이해할 수 없다는 것. 차라리 메타세균(metabacteria)라는 용어를 쓰는 게 나을 거라고 덧붙였다. 마이어는 “분류는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