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되었다. 지난 85년 레이건대통령의 결장수술팀의 대변인으로서도 널리 알려진 미국립 암
연구소
의 '스티븐 로젠버그'박사가 개발한 새로운 치료법은 우선 암환자에게 유전공학기법으로 생산한 대량의 IL-2를 보강함으로써 몸의 면역조직을 크게 부추긴다. 다음 단계는 환자의 피를 뽑아 백혈구를 ... ...
독립형 오디오텍스 시스팀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통신공학연구실 은종관 박사팀과 디지콤 정보통신
연구소
팀은 공동으로 독립형 32채널 오디오텍스시스팀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시스팀은 각종 데이타정보를 얻는 데에, 일반 CRT 단말기를 이용하지 않고도 기존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신장비, 즉 음성통신기술과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나서고 있고, 로봇생산에 선두를 달렸던 대우중공업도 FA 전문공장과 메카트로닉스
연구소
설립을 계기로 산업별 FA시스팀 모델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제조업체의 자동화 수주를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항공도 이제까지의 단품 생산 위주에서 벗어나 부품설비를 현장에 적용하는 현장응용사업에 ... ...
적성과 진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공계학과 중 적절한 분야는? 답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를 자연과학을 하는 사람은
연구소
에 틀어박혀서 책과 씨름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자연대에서 지질학 생물학 해양학 등은 기본적으로 자연과 직접 접하면서 이를 토대로 연구를 해야 한다. 물론 이런 경우도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과학고 1년 수료자들은 입학제한을 받았다. 현재 과학기술대 부설 과학영재교육
연구소
에서는 이들의 모든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해 입학성적과 입학 후 성적관계, 연령에 따른 수강능력 등을 분석하고 있다. 무학년 무학과제 성공적 과학기술대 학사운영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무학년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움직이게 되리라고는 생각하지도 못했다. 그러나 1982년 초 라이트 주립대학 생체공학
연구소
의 '제럴드 페트로프스키'교수가 하반신이 마비된 사람을 걷게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낸시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고 기뻐했다. 데이턴시에 있는 대학의 메인캠퍼스로 옮긴 낸시양은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생존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 인공심장은 일본의 토마스기술
연구소
가 제작한 제품으로 이
연구소
는 세종병원과 인공심장제작에 관한 기술제휴를 맺고 있다. 국제 학술행사 ■ 제16차 태평양과학대회8월20일 부터 30일까지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이대회에서는 소련등 동구권을 포함, 세계 5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표현대로 운이 좋아 세계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쌓게 된 것만은 아닌것같다. 이교수의
연구소
는 현재 세계보건기구(WHO) 출혈열연구중심센터로 지정받고 있다. 여기에서는 세계 각지에서 분리되는 출혈열바이러스를 분튜하기도 하고 치료약과 백신개발에 전력하고 있다.-연구비가 모자라 애를 먹은 ... ...
나일강농어 거대한 물고기가 일으킨 재난 토착어류멸종, 식량자원고갈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거대한 약탈자가 어떻게 나일강에서 호수에 들어 올수 있었을까? 동아프리카어업
연구소
(연구원은 대부분 유럽인)와 '우간다' 수산부가 이 문제에 대해 연구를 해 왔지만 아직도 시원한 해답을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다만 두가지 그럴듯한 설명이 나오고 있다. 하나는 나일강이 범람할때 농어가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사회부 산하 국립보건원 농수산물유통공사의 김치연구팀과 한국 식품공업협회 산하 식품
연구소
에 연구팀이 생겨 김치의 발효를 어느 시점에서 정지·지연시켜 상온에서 김치의 품질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노력하고 있다.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김치의 장기보존문제는 김치의 식염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