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3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준비는 끝났다” ‘천리안2B호’ 발사 D-1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3.4t으로 크기가 작은 천리안2B를 탑재공간의 하단부에 탑재하고, 무게 6t에 크기도 더
큰
일본 위성을 지지대와 함께 상단부에 탑재시켰다. 발사 4일 전부터는 발사 연습에 돌입했다. 발사 2일 전 최종적으로 발사 준비 과정을 점검하고 발사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발사준비완료검토회의를 현장에서 ... ...
남극 바다 얼음이 이산화탄소 바다에 가둬 빙하기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바다의 역할이 컸다. 과학자들은 이중 남극해가 중요한 바다가 다량의 탄소를 머금는 데
큰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바다에는 유기 탄소가 심층에서 분해되며 대기 탄소량의 60배에 달하는 탄소가 저장돼 있다. 이중 남극해에서만 수면 바람에 의해 심해의 물이 바다 표면으로 올라오는 ... ...
[AAAS연례회의]美전문가, 코로나19 숨은 환자 84%…"팬데믹 가능성 여전히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때도 에볼라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해 질병 예방과 대응에
큰
도움을 줬다. 지난 2013년에는 독감에 대한 구글 검색결과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확진 신고를 토대로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한 독감 예측에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샤먼 교수 ... ...
계속되는 '0번 환자' 음모론…"우한 실험실 바이러스 유출" 주장 中논문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이 논문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박능후 중수본 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하나의
큰
감염병이 발생해 확산하면 으레 여러 가지 음모설도 나오고 주장도 나온다”며 “정부 차원에서 면밀히 보고는 있으나 정확하게 확인하기까지 입장을 밝히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어 ... ...
정부 "일본 지역감염 제한적, '오염지역 지정' 아직 검토안해
연합뉴스
l
2020.02.17
중국 우한(武漢)의 화난수산시장이 아닌 우한의 한 실험실이라는 일부 주장과 관련해 "
큰
감염병이 발생해서 확산하면 여러 가지 음모설, 주장도 나온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 "(바이러스가) 우한 시장에서 나왔다는 것, 박쥐라든지 다른 제3의 매개체를 통해 나왔다는 것 등에 대한 ... ...
눈 밝은 '천리안2B' 해양 연구를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유 센터장은 “천리안 1호를 올렸을 때, 해양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당시 가장
큰
문제였던 적조 현상을 관측하는 데 관심이 많았다"며 "지금은 적조는 줄어들고 미세먼지와 기후변화 등 지금까지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임무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천리안 ... ...
이산화탄소 먹어치우는 '착한 콘크리트' 온실가스 주범 오명 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일부 흡수해 콘크리트로 만들었다. 전세계 기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 분야 중 하나인 건설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CO2Concrete 제공 현대의 도시는 흔히 ‘회색 도시’로 묘사된다. 이런 표현을 낳은 중심에 현대 도시를 탄생시킨 ... ...
[표지로 읽는 과학]개구리 줄면서 뱀도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알아냈다. 놀랍게도 일부 종은 오히려 과거보다 더 늘어났다. 연구팀은 생태계에
큰
변화가 일어나면서 사냥이 어려웠던 종들이 먹잇감을 찾기가 훨씬 쉬워졌기 때문으로 추측했다. 하지만 생물의 다양성을 잃는 것은 뱀 위의 상위 포식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국 생태계 전반에 변화를 ... ...
[AAAS연례회의]”두려움을 전하라. 그리고 행동을 촉구하라" 과학보도의 자세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 “두려움과 희망적이란 감정이 함께 제시될 경우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다만 화라는 감정을 유발하는 과학 뉴스의 경우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결국 감정은 과학자가 어떻게 말하냐와 어떻게 그 말을 리포터가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의학 논문이 쏟아져 나오고, 다양한 연구가 광속으로 진행되고 있다. 아마 곧 전염병에
큰
타격을 날릴 새로운 백신이나 항생제 혹은 공공보건 혁신이나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의학적 진보가 일어날지도 모른다. 언젠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잠잠해질 것이다. 분명 시간 문제다. 하지만 안심하지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