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태
상황
현황
정세
사정
페노메논
실태
뉴스
"
현상
"(으)로 총 6,82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을 가려내는 논리력의 위대함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있다. 전기 자극을 준 후 피부세포의 저항을 판단하는 것이다. 평소에 말을 할 때 신체
현상
과 거짓말을 할 때의 신체 반응을 비교하는 방식이다. 혹자는 거짓말 탐지기가 과학수사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거짓말 탐지기의 오판율은 10~20%로 알려져 있다. 사실을 말한다 ... ...
우리 아이에게 우주의 신비를 가르쳐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개관, 대기 오염물질과 인공 불빛 때문에 별 구경이 어려운 도시인들에게 다양한 천문
현상
관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과학동아 천문대에는 8인치(200mm) 굴절 망원경이 설치된 천체관측관을 비롯해 날씨와 무관하게 가상의 밤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천체투영관, 10여 대의 실습용 망원경으로 ... ...
남극 빙하 녹는 속도, 최근 느려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강하게 부는 라니냐
현상
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올라가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내려가는
현상
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남극 지역으로 들어오는 따뜻한 해류의 유입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파인아일랜드 빙하의 경우 지형적인 요인도 빙하의 녹는 속도에 변화를 준 것으로 분석됐다. 주변 바다 ... ...
우리 바다, 이어도해양과학기지가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끌어 쓰는 ‘남수북조’ 공정을 시작했는데 이후 서해로 흘러드는 물이 줄면서 고염화
현상
이 나타나고 있다. 농도가 짙어지고 있는 중국발 미세먼지의 유입 특성도 이어도기지에서 관측한다. 최근에는 ‘국제 해양위성 검‧보정 네트워크 관측기기(AERONET-OC)’를 설치한 뒤 관측 자료를 미국 ... ...
새해 목표도 금연? '전자담배'보다는 그냥 끊는게 답!
동아사이언스
l
2014.01.01
활성화돼 있었다. 태퍼 교수는 “이 신경세포의 활성화를 인위적으로 낮춰 금단
현상
을 없애는 방식을 통해 손쉽게 금연에 성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3.12.31
다 줄 것처럼 청산유수다. 이런 것도 초파리처럼 머릿속의 무엇인가가 ‘길어지는’
현상
아닐까? 그래도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은 깔끔히 포기하자. 좌절한 청일점 초파리처럼 단명하기 싫다면, 어서 제짝을 찾아 나서야 하겠다. 사랑하는 사람 앞에서 홀로 좌절하고 있는 솔로들에게 심심한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
과학동아
l
2013.12.30
남반구에서 높이 200km에 이르는 거대한 물기둥이 얼음 표면을 뚫고 7시간 이상 치솟는
현상
이 발견됐다. 유로파는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 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 ...
○○○아, 내 청춘을 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유전체는 줄었지만 핵에서 나오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은 정상으로 유지된다는 특이한
현상
을 발견한 데서 시작했다. 그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연구진은 NAD가 미토콘드리아의 유전 체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신클레어 교수는 “이번에 발견한 노화 경로는 신혼 때 의사소통이 잘 ... ...
잦은 송년모임으로 지친 이 때, 쥬라기로 여행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빛은 세포와 생명체를 자극하는 상호 작용 물질입니다. 기계 공학자에게 빛은 물리
현상
을 일으키는 전자기파입니다. 우연하게도 셋의 공통 화두는 빛이었습니다.” 빛에 대한 연구는 빛의 입자성을 주장한 아이작 뉴턴과 빛을 파동으로 설명한 크리스티안 하위언스를 통해 일대 계기를 맞았다 ... ...
사람도 겨울잠 잔다고?
과학동아
l
2013.12.27
통해 근육과 뼈를 보호한다. 각성은 5~10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깨서 체온을 올리는
현상
으로, 이때 근육조직을 보호해주는 열충격단백질(HSP)이 평소보다 50% 이상 늘어난다. 보통 겨울잠을 자는 동안은 면역력이 떨어져서 바이러스와 병원균이 침투하지만 체온이 낮아서 활성화되지 않는다. 그러다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