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크게 보이도록 해주는 역할만 한다. 천적에게 가시와 털을 더 확실하게 보이기 위해 밝은
경계
색을 띠고 있지만 독성도 없고 찔리지도 않아 허울 좋은 방어 무기일 뿐이다. 효력이 전혀 없는 털만으로도 쉽게 잡혀 먹히지 않는 것을 보면 애벌레의 털이 갖는 효과를 짐작할 수 있다. 북쪽으로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때 자주 참고했다”고 회상하고 있다. 왓슨은 이 책에서 수시로 폴링에 대한 두려움과
경계
심을 드러낸다. 이렇게 절대 넘을 수 없는 마왕 같은 연구자이자 스승이 자신과 똑같은 주제로 경쟁을 하고 있다니, 소문만으로도 왓슨과 크릭이 긴장한 것은 당연했다. 그런데 얼마 되지도 않아 ‘이미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일수록 경직성 점수가 높았다. 외국인에 대해
경계
심이 크거나 자국의 문화에 대한 우월감이 높은 사회도 사고가 경직돼 있었다.[지난 봄 대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이 유출되면서 인근 주민들은 집을 버리고 대피해야 했다. 이번 사고 수습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북태평양 기단과 만난다. 성질이 다른 두 기단은 서로 섞이지 못하고 힘겨루기를 하다가
경계
면을 만든다. 이것이 6월부터 7월까지 우리나라에 비를 몰고 오는 장마전선이다.이때 장마의 세기와 형태를 결정짓는 것이 북태평양 기단이다. 따뜻한 수증기와 에너지를 내보내는 북태평양 고기압이 ... ...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동아 4월호에 기후 변화에 따른 왕나비의 한반도 진출에 관한 내용을 소개했다. 이때
경계
색과 신경독성 물질로 스스로를 지켜내는 애벌레의 생존전략을 언급했지만 철사도 그런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머리와 배 끝 부분에 있는 2쌍의 검고 퉁퉁한 철사는 먹으면 목에 걸릴 것 같은 가시 같고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모두 우주로 잠깐 쏘았다 다시 돌아오는 ‘준 궤도 비행’을 한다. 지구와 우주의
경계
인 100km까지 포물선 비행을 하고 공항으로 돌아오는 이 여행은 단지 3~5분 정도만 무중력체험을 할 수 있다. 다소 아쉬움이 있지만 그동안 우주비행사만이 봤던 지구의 끝과 우주의 시작을 볼 수 있는 경험은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표면이 출렁이는 현상이지만, 쓰나미는 물 전체가 움직여서 일어나는 해일이거든. 판
경계
부분의 지각이 미끄러지면서 발생한 지진의 에너지가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엄청난 파괴력을 갖게 되지. "이번 대지진으로 일본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지역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발생했어요. 하지만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0℃ 라인이 있는데요. 얼음알갱이가 상승기류와 하강기류를 타고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이
경계
를 넘나듭니다. 녹았다가 얼었다가를 반복하면서 점차 부피가 커지죠. 그래서 슈퍼셀에서 쏟아진 우박을 반으로 갈라보면 나무 나이테처럼 수많은 얼음 층을 볼 수 있답니다.스파우트 박사: 전 우박이나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보안 윤리를 철저하게 지켜야한다는 점이다. 일반인들 중에서도 해킹에 합법과 불법의
경계
가 분명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보안 실습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해킹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대단한 착각이며 오해임을 분명하게 말해둔다.종종 해킹 범죄를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고양이는 혀를 내밀 때 혀끝을 뒤로 말아 혓바닥 앞부분이 우유(물은 투명하기 때문에
경계
식별이 잘 안돼 우유를 사용했다) 표면에 닿게 한다. 그 뒤 혀를 당기면 혓바닥 아래로 물이 딸려 올라오면서 작은 ‘물기둥’을 형성했다. 그 뒤 물기둥이 점차 얇아져 떨어지려는 순간 입을 닫아 기둥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