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온냉계(Thermoscope)’라는 새로운 온도계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 온도계는 눈금이 없어
단지
덥고 차가운 정도만 알려주는데 그쳤다.화씨온도 : 현재는 물의 어는점(0℃)을 32℉, 끓는점(100℃)을 212℉로 정하고, 이 사이를 180등분한 눈금을 ... ...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거울로 가득 찬 방에 살고 있다. 어떤 거울에 비친 모습은 물체와 똑같은 모습이다.
단지
좌우만 바뀌어 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거울을 평면 거울이라고 한다. 어떤 거울에는 훨씬 더 넓은 범위의 모습까지 비친다. 원래의 크기보다는 작게 보이지만 대신 멀리 떨어져 있는 ... ...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산악 지역이 많아 풍력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제주도 월령과 중문
단지
, 경북 영덕군, 강원도 대관령 등지에는 큰 규모의 풍력 발전기들이 꾸준히 전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새만금 등 풍력 발전기설치를 준비하는 지역도 늘고 있다.하지만 우리나라는 풍력발전시스템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자신만의 건축세계를 대한민국은 물론 세계에 심고 있다. 2002년 중국 베이징 장성주거
단지
클럽하우스를 설계했고, 2005년에는 베이징 짜오와이 소호상업지구 국제공모에 당선됐다. 그는 “외국에서 건축을 설계하는 것은 한국 건축가가 지닌 지식의 총체를 전달한다는 의미”라며 “중국과 일본에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공리를 절대 진리로 여겼으나 힐베르트는 공리를 게임의 규칙과 같이 여기면서
단지
가설로 간주하고 수학을 전개했다. 힐베르트는 ‘어떤 명제라도 그것이 성립하는가를 판정할 수 있는 공리 이론이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괴델은 힐베르트의 학설에서 오류를 지적했다. ... ...
화산섬 제주도의 보물6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곳이므로 화석을 맘대로 가져갈 수 없다. 4 육각 돌기둥 절벽, 대포동 지삿개중문 관광
단지
의 서쪽 대포동 해안가 지삿개에서는 높이가 수십m 되는 돌기둥 절벽을 볼 수 있다. 돌기둥이 겹겹이 쌓여서 마치 성처럼 해안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과 같다. 제주도와 같은 지형에서 볼 수 있는 기둥모양의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웜홀을 통해 여행한다고 하자. 이 웜홀이 없다면 지구에서 안드로메다은하까지 가는 최
단지
점은 초속 70km의 헬리오스2를 타고 여행할 때 90억년이 걸리는 경로다. 물론 웜홀이 지구 근처에 숨어있다면 웜홀이란 지름길을 이용해 수년 내에 안드로메다은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90억년이 걸리는 ... ...
2. 사람의 순간이동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전송하면 된다. 고전물리학에서 물체의 상태를 측정하는 일은 이미 정해진 물리량을
단지
읽어내는 역할일 뿐이다. 하지만 양자물리학에서는 물리량이 측정될 때 정해진다. 양자상태는 물리량의 값이 어떻게 정해질지 확률을 줄 뿐이다.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로 물체의 양자상태를 측정하면,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두 말단 사이에서 인산디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면 고리모양 분자가 된다 고리모양 DNA는
단지
한 곳만 절단하면 선상이 되므로 큰 DNA 분자가 고리모양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어렵지만 비교적 작은 바이러스의 DNA나 미토콘드리아의 DNA 등은 천연 상태에서 고리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KIST)의 초대원장이자 7년 동안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일하면서 대전 대덕연구
단지
건설을 계획하는 등 우리나라에 맞는 과학발전모델을 제시하였다.화학계의 휴머니스트 김순경(1920〜2003)한국을 대표하는 화학물리학자 김순경은 미국에서 연구활동을 하며 무려 72편의 논문을 발표해 한국인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