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촉촉하고 달콤해~ 예각, 둔각 쿠키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세로선이 만나며 생기는 각의 크기는 90랍니다. 이를 직각이라고 하고, 각을 이루는 두 변
사이
에 ‘ㄱ’ 모양으로 표시해요. 수콤의 쿠키 틀은 직각을 포함하고 있네요. 달콤비법 각의 크기가 0보다 크고 직각인 90보다 작은 각을 예각이라고 해요. 예각의 예(銳)는 한자어로 ‘날카롭다’,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Y)는 ‘GPY 체 법’으로 불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소수들
사이
의 간격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 셀버그 체 이론을 바탕으로 특별한 형태의 합을 고안했습니다. GPY의 업적은 놀랍게도 2013년에 장 교수와 메이나드 교수에 의해서 많이 개선됩니다. 장 교수는 GPY 체 법에 적용할 수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해하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0 혹은 1로 세상을 이해하지만 실제는 0에서 1
사이
에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하지요. 그래서 컴퓨터는 실수를 계산할 때 0과 1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치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근사치로 계산할 때, 어떤 숫자가 계산이 가능하고 불가능한지를 따지는 것은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같은 시간대를 공유하는 이 작품은 치리호가 발사되기 세 시간 전부터 우주비행사들
사이
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는다. 강 기획은 “발사 6개월 전이 사회적 현안에 대해 이야기했다면 발사 세 시간 전은 개인의 이야기를 담는다”며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동기가 무엇일지 더 깊게 다루고자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선생님이 된 사람도 있다”고 했습니다.개미 연구자와 개미덕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
입니다. 연구자들이 덕후에게 개미 채집을 부탁하는 등 일반인과 함께 연구하는 경우도 많죠. 숲곰개미 님이 직접 찍은 사진이 연구자의 논문에 활용된 적도 있습니다. 그는 “부전나비라고 해서 개미집에서 ... ...
달 토양에서 키운 첫 싹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달 겉흙에서 자란 식물은 모두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내는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 겉흙
사이
에서도 차이는 있었다. 아폴로 11호 겉흙에서 재배된 식물에서 이 유전자의 발현이 많이 나타난 것이다. 또 아폴로 11호 겉흙에서 키운 식물이 다른 두 겉흙에서 자란 식물들보다 더 약했다. 그럼에도 펄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사랑할 대상이 없다면 성가신 대상이라도 있어야 살 수 있는 존재인 건가?민연애는
사이
버공간에 접속해서 지구에 누군가 있을지 찾아보지 않았다. 노인과 병자만 남은 지 30년이었다. 지구에 그녀 혼자뿐일 가능성이 있었다. 그걸 확인하는 게 두려웠다. 극소수지만 젊은 사람 중에도 남은 사람이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빛의 속도로 약 8분 19초’이지요. 네? 거리를 나타내야 하는데 웬 빛이냐고요? 별과 별
사이
의 거리는 어마어마하게 멀어서, 지구에서 쓰는 km와 같은 단위로는 나타내기 어려워요. 그래서 ‘빛이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표현하지요.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멀리 떨어져 있는 거예요. 빛은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뜻해요. 용액이 얼마나 산성, 염기성을 띠는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4
사이
의 숫자로 나타내지요. 25℃, pH7(중성)을 기준으로 pH가 7보다 작을수록 산성을, 클수록 염기성을 띤다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pH에서 숫자 1의 차이는 수소 이온의 농도가 10배 차이남을 의미해요. 그래서 pH6인 용액은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해요. 하지만 조합론은 현대에 와서 체계화된 학문이에요. 또 연구하다 보면 사람과 수학
사이
가 굉장히 밀접하다는 것을 가장 느끼게 해 주는 분야예요. 그게 최고의 매력이었어요. Q. 어떤 계기로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으로 옮기게 되신 건가요? A. 2010년 미시간대로부터 아직 학술지에 게재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