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딕셔너리
사서
옥편
자전
백과사전
어전
콘사이스
d라이브러리
"
사전
"(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803년 편찬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와 더불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어류백과
사전
으로 평가받는다. 이 두 서적 모두 편찬 당시의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해 줄뿐 아니라 당대의 언어를 연구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자산어보’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고 필사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크고 작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24개의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이용해 국어
사전
에서 단어를 찾는 일에 비하면 고작 10개의 숫자로 이뤄진 수를 이해하는 게 훨씬 쉽지 않을까?이것만 할 줄 알면 수학을 잘 할 수 있다!④-약도 그리기 우리집이 어디 있는지 다른 사람에게 알려 주기 위해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있던 2003년 당시 미국 ‘마르퀴즈 후즈 후’사에서 발간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인명
사전
인 ‘후즈 후 인더월드’에 이름 을 올렸다. 그가 그동안 해온 광양자컴퓨팅 연구가 인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제가 하는 일의 가장 큰 매력이라면 남들이 하지 않는 연구를 하고 있다는 점이 아닐까요?” 함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쌍방향 관계 맺기다. 트위터에서도 팔로잉을 건 상대를 차단할 수 있지만 이는‘
사전
’이 아닌‘사후’조치라는 점이 다르다.트위터에선 팔로어가 됐다고 해서 나도 상대를 반드시 팔로잉할 필요는 없다. 상대가 허락을 받지 않고 내 얘기를 듣기를 원했는데, 내가 상대 얘기를 들을 책임이 없다는 ... ...
엽기동물 대백과
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느 날 갑자기 혀가 사라진다면? 게다가 내 혀를 모두 갉아 먹은 동물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혀 노릇을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면? 상상만 해도 소름 끼치는 일이지만 실제로 남의 혀를 갉아 먹고 혀 흉내를 내면서 살아가는 동물이 있다. 바로 시모토아 엑시구아(Cymothoa exigua)다.시모토아 엑 ... ...
신개념 영어학습기 '매직 스터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루하지 않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는다.지금까지 출시된 영어학습기는 대부분 전자
사전
에 영어단어 암기 프로그램을 추가한 정도라서 학습자는 암기하는 과정을 지루하게 반복해야 했다. 매직 스터디는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어매칭 게임’을 도입했다. 화면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는 염기의 배열을 알파벳 형태로 나열하면 60억 개의 문자열이 되는데, 이는 백과
사전
으로 치면 7백 권짜리 분량에 해당할 만큼 엄청난 양이다. 세포 하나마다 그 만큼의 유전자 정보가 들어 있으니, 우리의 몸은 어마어마한 크기의 ‘거대한 도서관’이라 할 수 있다.과학자들은 46개의 염색체를 4 ... ...
연세대 수시 2-1: 구술에서 논술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논제를 자세히 읽고 그 내용에 기반을 둔 추론 과정을 상세히 서술해야 한다. 대학은 백과
사전
식 인재보다는 논리적 추론 능력이 뛰어난, 가능성이 큰 인재를 선발하고 싶어 한다. 둘째, 글을 쓰는 훈련이 필요하다. 응시 집단의 학습 역량과 출제 문제의 수준 측면에서 이해력, 분석력, 창의적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핵실험 미리 파악할 수 있다?대부분 국가들이 지하에서 비밀리에 핵실험을 하기 때문에
사전
에 파악하기 힘들다. 아직까지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해 예상지역에서 핵실험을 준비하는 징후를 감시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사실 인공위성 촬영법은 핵실험을 한 뒤 지반이 함몰돼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97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미국 사회에서 신경보철(Neural Prosthesis)이라는 단어는
사전
에 등재되지도 않을 만큼 낯선 분야였다. 1978년 서울대에서 전자공학 학사를 마치고 생체전자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학길에 올랐던 서울대 전기공학부 김성준 교수도 신경보철에 대해 모르긴 마찬가지였다.6백만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