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업
공업
생산업
실업
부지런
근면
기업
d라이브러리
"
산업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3호
먼지를 씻어내는 이색 체험도 해 볼 수 있었지요.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신주과학
산업
단지에 있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인 ‘TSMC’였어요. 이곳 안에 마련돼 있는 박물관에서 VR을 통해 반도체와 미래 기술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답니다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투자자이자 미국 사업가인 짐 로저스는 2017 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좋은 직업이 뭐냐는 질문에 “지금 삶이 마음에 안 든다면 농 부가 돼라”고 답했어요. 그는 “20~30년 뒤 농부가 가 장 좋은 직업이 될 것”이라고 여러 번 강조한 바 있어요. 그 이유는 가까운 미래에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현재 귀금속으로 대접받고 있어요. 장신구는 물론이고, 화학반응에서 촉매로 작용해
산업
계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이죠.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 속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촉매 변환기에도 백금이 쓰인답니다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여기서 중요한 건 무료 공개 이미지나 직접 찍은 사진을 써야 한다는 거예요. 서울
산업
진흥원 미디어콘텐츠팀 신득수 책임님은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존중하는 것이 유튜브의 시작”이라고 강조했지요.이날 행사에 참여한 김도윤 기자는 “크리에이터들의 강연을 듣고 직접 채널을 만들어 보며,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21세기 말에 난민 신청자는 200%까지 늘어나요. 반면 인류가 노력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
혁명 이전에 비해 1.5℃ 이내로만 오른다면 난민 신청자는 30%만 늘어날 뿐이지요. 그런데 2017년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OECD 26개국 중 4위를 기록해요. 10년동안 배출 증가량은 2위지요. 우리나라가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채소의 무게를 달거나 운동선수의 기록을 측정할 때는 전과 동일하다. 다만 과학계나
산업
현장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박 원장은 “나노과학이나 초고속통신, 양자역학 등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기존 단위 시스템을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생산 업체인 우모의세계를 운영하고 있는 김한수 대표(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 섬유
산업
본부장 역임)는 “실제로 침구에 있던 깃대가 빠져나와 눈에 부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다”며 “깃대가 긴 깃털은 셔틀콕이나 소파 등에 주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인공 충전재 보온력은 OK, 충전성은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아직까지 3차원에서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없어 수학계 대표 난제로 꼽힌다. 과학계와
산업
계에서는 해의 근삿값을 구해 활용하고 있다. 도함수★ : 어떤 함수를 미분해 얻은 함수. 수학자였던 도진의 아버지도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연구했으나 풀지 못했다. 도진은 문제에 끌리면서도 계속 ... ...
[찰칵 퍼즐 여행] 역사와 첨단 기술의 어울림 인도 벵갈루루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벵갈루루는 유서 깊은 고대 도시이면서 인도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릴 정도로 첨단
산업
이 발달한 도시입니다. 자, 그럼 인도 벵갈루루로 여행을 떠나 볼까요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바로 자원이 고갈되고 있다는 것이다.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돼있는데, 인구 증가와
산업
발달로 자원 소비량은 급증하면서 자원의 고갈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이는 에너지 부족 문제를 발생시켜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 자원 소비량의 지역 간 격차도 심각하다. 현재 선진국 위주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