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전
화숙
d라이브러리
"
산화전
"(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양자역학을 도입해 화학결합을 제대로 설명해낸 폴링의 1954년 수상은 현대화학의 초석을 닦았다는 평가와 함께 베스트1로 손꼽을 수 있다. 반면 사료보관방법을 발견한 1945년 수상자 핀란드의 비르타넨은 업적 자체도 미흡하지만 정치적 편견도 깔려있다. 역대 노벨화학상 베스트3과 워스트3을 살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재 리소그래피 기술은 반도체 표면에 1백nm 두께의 회로를 그릴 수 있는 정도다. 여기에 쓰이는 기술은 사진기술. 그러나 더이상 가늘어지기 어렵다. 새로운 리소그래피 기술이 필요한 시기다. 바로 SPM이다.현대 과학기술분야에서 리소그래피(lithography)란, 반도체나 다른 고체의 표면을 처리해 아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올해는 진공청소기가 발명된지 1백년째 되는 해다. 1901년 영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진공청소기는 당시 집안 일에 힘들어하던 여성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가정에서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내몰았다. 지금은 어떨까.진공청소기를 처음 만든 사람은 영국의 발명가 세실 부쓰다. 그때만 해도 기원전 ... ...
10배 이상 늘어나는 세라믹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세라믹은 음식물을 담는 식기에서 우주왕복선 재료로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는 신소재의 대표주자다. 도자기 조각을 쭉 당겨 늘려볼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지 않듯, 이 세라믹을 늘려볼 생각을 하는 과학자는 많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일본의 한 연구팀이 세라믹을 10배 이상 늘이는데 성공해 연구결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2010년 어느날, 친구를 기다리던 H양은 지루한 시간을 달래기 위해 핸드백에서 ‘휴대용 컴퓨터’를 꺼낸다.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에 립스틱 크기 만한 저장장치는 핸드백에 넣고 다니기에 안성맞춤이다. 전원버튼을 누르자마자 바로 뜬 화면에는 조금 늦겠다는 친구의 메일이 도착해 있다. 기다리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귀걸이, 목걸이 못지 않게 필수 액세서리로 자리를 굳혀가는 선글라스. 그러나 단지 액서리로만 볼 수 없다. 선글라스에 대한 온갖 궁금증을 풀어보자. 최근 개봉된 할리우드 대작으로 꼽히는 영화 ‘진주만’. 제2차 세계대전 일본군이 하와이 진주만을 공습할 당시를 배경으로 전투기 조종사와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달 착륙은 영화세트장에서 조작됐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군이 만든 생물학전 병기다. 화성에는 외계인이 만든 인공물이 있다. 당신의 이메일은 지금 감시당하고 있다. 최근 다시 고개를 드는 음모론의 내용이다. 과연 어디까지 진실일까. “내가 본 모든 것을 환상이라고 부정해도 좋습니다. 하지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사람의 감각기관과 센서 중에서 어떤 것이 더 뛰어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시각이나 청각에서는 사람의 눈과 귀를 능가하는 센서가 등장하지만, 후각과 미각은 그렇지 못하다고 하는데….지난 4월말 국내에도 미국이나 일본에 못지 않은 인간형 로봇이 등장했다. 한국과학기술원 전자전산학 ... ...
뱃살 빼려면 30분 이상 뛰어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나이가 들면 자꾸 나오는 똥배가 걱정이다. 뱃살을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조깅이나 달리기를 하는 사람의 경우 30분 이상 달려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하지만 이제 막 운동을 시작한 사람이라면 가벼운 걷기가 더 좋다고 하는데….외모에 치명타이자 건강에 적신호인 뱃살. 뱃살의 정체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1600년대 토리첼리는 진공상태를 처음 만들었다. 이때 그가 만든 공간에는 기체가 하나도 없었을까. 아니다. 단지 기체분자가 대기 중보다 더 적게 있을 뿐이었다. 지금도 과학자들은 진공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왜일까.우리가 숨쉬는 대기는 질소 약 78%, 산소 약 21%, 그리고 미량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