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의실험
가상
인공
시뮬
시뮬레이터
에뮬레이터
모의훈련
d라이브러리
"
시뮬레이션
"(으)로 총 98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진 약 500장이 들어 있다.이 표정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사람의 표정을 재현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도 만들었다. 가로는 불쾌함과 기분 좋은 정도를 나타내며, 세로는 들뜬 상태인지 나른한 상태인지를 가리킨다. 가로와 세로에 적당한 수치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사람의 표정이 나타나는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토목과 IT의 접목이 얼마나 중요한지 설득하기 위해 IT를 이용해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뮬레이션
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사장교인 서해대교의 경우 상판뿐 아니라 주탑, 케이블 등 다양한 구조부재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기록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컴퓨터 모니터로 교량의 3차원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정보 속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게임도 수학을 알면 더 재미있다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프로게이머의 경기를 보자. 각자 부대를 이끌고 전투를 벌이는 프로게이머가 자기 부대에 속한 유닛이 모두 적군의 유닛 하나를 집중 공격하도록 조작하는 모습을 볼 수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제작했다. 직접 필름스피커를 오려 붙여 옷을 만들고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끊임없이
시뮬레이션
을 하면서 화려한 영상과 음향을 만들었다. 이 교수가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마다 시각화, 청각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은 어디에서부터 나오는지 궁금했다.“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모험을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컴퓨터
시뮬레이션
을 통해 그 방법을 찾아냈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학자 최석정의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저희는 나노기술 덕분에 이런 행운을 잡은 것이죠.”연구팀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보면 나노렌즈를 통과하면서 빛이 심하게 꺾일 뿐 아니라 경로가 휘어지는 초굴절 현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초점거리가 렌즈의 크기와 곡률로 계산한 것보다 훨씬 짧아진다. 그렇다면 ... ...
나로 호, 우주강국 ‘궤도 진입’ 실패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1, 2단 로켓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과정에서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발사 당시 발생한 고온고압의 환경 때문에 나로 호의 전기장비나 정밀기기들이 뜻밖의 고장을 일으켰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실제 외국에서도 이번 나로 호처럼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충격이 어느 부위까지 전달되고 어느 부위가 제일 다치기 쉬운지 알려주는 가상
시뮬레이션
말이다. 그렇게 되면 인간은 더욱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겠지만, 왠지 핑곗거리도 늘어날 것 같다.“선생님, 저는 손바닥을 맞으면 그 충격이 뇌까지 전달된대요. 그러니까 때리지 마세요. 네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서울(연세대 교내)에서 달이 없는 기간 밤하늘 별의 개수는 평균 16개에 불과했다. 이를
시뮬레이션
자료와 비교해보면 서울 밤하늘의 밝기가 1.78등급으로 나타난다. 즉 서울 역시 1등성만을 볼 수 있는, 광공해에 시달리는 도시란 얘기다.6등성까지 볼 수 있는 어두운 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 ...
디지털 원전의 시간을 돌려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따른 시설물의 노화와 변형모습을 예측하는 그를 보면 영락없는 시설물공정관리자 또는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자의 모습이다.정확한 그의 전공은 원자력시스템공학. 우리나라의 주된 에너지원인 원자력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제반시설을 연구하고 이에 필요한 시스템의 설계를 다루는 학문이 그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