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만들고, 본격적인 영상 창작자가 되려 교직을 그만뒀다. 그러나 오리의 우아한 모습
아래
에는 허우적대는 다리가 있다고 누가 그랬던가. 좌절이 찾아왔다. 도움닫기 없이는 도약할 수 없다영상을 만들고 올리는 모든 과정이 처음에는 부끄러울 정도로 ‘어설픔’ 그 자체였다. 카메라 앞에서 ... ...
[질문하면 답해 ZOOM!] 왜 딸꾹질을 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있는 막으로, 가로막이나 늑막이라고도 불러요. 사람의 폐에는 근육이 없으므로 폐
아래
횡격막과 갈비뼈가 폐의 호흡 운동을 조절해요. 숨을 들이쉬면 목에 있는 성대가 열려요. 이때 갈비뼈가 올라가고, 횡격막은 내려가며 폐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요. 반대로 숨을 내쉬면 성대가 닫히고, 갈비뼈가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r개를 중복 없이 골라 순서에 상관없이 나열하는 방법을 뜻하며 nCr로 나타냅니다. 그리고
아래
식에 맞춰 계산합니다. 따라서 라켓소년단 4명 안에서 복식 조를 구성하는 과정은 서로 다른 4개의 원소에서 2개를 고르는 경우와 같습니다. 1복식 조를 만들면 나머지 2복식 조 역시 완성되기 때문이죠. ... ...
[SF 소설] 당신의 신호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여름이면 팥빙수를 먹고 잠시 그를 떠올리곤 한다. 다시 엘리베이터를 타서 한 층
아래
인 지하 2층에 내렸다. 아직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장례식장이 있는 층이다. 그 층은 어두컴컴했다. 처음엔 걷다 보면 불 켜진 곳이 있겠거니 생각하고 걸었지만 시골 병원이라 전기세 절약을 위해 불을 꺼둔 것 ... ...
[특집] 보기 좋은 얼음이 맛도 좋다! 예쁜 얼음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얼음도 위에서
아래
로 얼기 시작해요. 얼음이 얼면서 공기와 불순물은 비교적 따뜻한
아래
쪽으로 밀려나요. 투명해진 얼음 윗부분만 사용할 수 있지요. 이렇게 만든 투명 얼음은 더 단단하기도 해요. 불순물이 섞이면 얼음 결정의 구조가 더 쉽게 무너지거든요. 예를 들어 10명의 사람들이 서로 손을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눌러 추가합니다.➐ 생활안전 국민행동요령 관련 블록들이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➑
아래
의 블록들을 따라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설계합니다. 미션2날씨 알려주는 인공지능 만들기 엔트리의 ‘확장 블록 불러오기’에서는 기온과 강수량, 미세먼지 농도 등 한국의 날씨와 관련된 블록 모음도 ... ...
과거│2만 년 전, 한강은 황해의 초원을 달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따라서 암석의 열역사를 분석하면 융기 시점을 추측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해발고도 600m
아래
지층은 공통적으로 2600만~1800만 년 전 사이에 냉각됐다는 것이 밝혀졌다. 태백산맥이 점진적인 융기로 형성된게 아니라 한꺼번에 만들어졌다는 뜻이다. doi: 10.1080/00206814.2017.1340196지난해 12월 변종민 서울대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나는야 달콤 젤리 요리사~! 커다란 곰젤리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젤리의 세로 길이를 기준으로 직접 만든 곰돌이 젤리의 세로 길이를 비교해 볼까요?
아래
그림을 보세요. 직접 만든 곰돌이 젤리가 슈퍼에서 파는 곰돌이 젤리보다 2와 1/3 만큼 크네요. 즉 작은 곰돌이 젤리 2개와 개를 이어붙인 것만큼 더 크다는 뜻이랍니다 ... ...
‘뉴락’ 장한나 작가 “플라스틱 시대를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언뜻 봐선 특별한 점을 발견할 수 없는 평범한 돌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장 작가의 시선
아래
에서 새롭게 예술품으로 재탄생될 순간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세상에 없던 새로운 돌을 만나다장한나 작가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던 새로운 바위’라는 뜻의 ‘뉴락(new rock)’이라는 일련의 작품을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풍선이 하늘 위로 떠올라 약 20km 상공, 성층권에 닿는다. 풍선
아래
에서는 탄산칼슘 가루가 뿜어져 나오며 강력한 햇빛이 지표면에 닿기 전 반사한다. 6월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행할 예정이던 지구공학(Geoengineering) 실험, 스코펙스(SCoPEx)의 시나리오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극복할 창의적인 방법으로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