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래"(으)로 총 3,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것이다! 그러니 현대수학의 빠른 발전이 아라비아 숫자 하나만으로 이뤄졌다기보다는, 오래 준비돼 있던 수학적 사고 능력이 아라비아 숫자라는 우수한 기호를 만나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냈다고 볼 수 있다. 1위인 ‘0과 아라비아 숫자’가 아주 명료하게 수학의 기초와 기본 단계를 다지는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암컷 돼지는 본능적으로 이 향을 좋아하고, 이 향이 나는 곳을 찾는답니다.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암컷 돼지의 특성을 이용해 송로버섯을 찾았어요. 송로버섯은 보통 30~100cm 정도 깊이에 묻혀 있기 때문에 사람이 눈으로 찾기 힘들거든요. 그래서 특별한 훈련이 없어도 본능적으로 송로버섯을 찾는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호는 일주일 뒤 달 표면에 착륙해 321일 동안 10.54km를 이동한 것이다. 예정보다 3배나 더 오래 활동한 것이었다. 루노호트 1호는 2만 개의 이미지를 안테나로 전송하고 25가지 토양 분석을 수행했다. ● 1994. 01. 25 달의 남극을 찍다크레이터가 숨구멍처럼 뚫린 달의 남극이 고해상도 카메라에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표정이나 음성으로 사람과 의사소통도 한다. “로봇공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한 건 아주 오래 전이었어요. 우리 집은 장애를 겪는 동생이 있어서 온 가족이 종일 보살펴야 했지요. 그런데 만화영화에서 커다란 로봇이 사람을 번쩍 들고 하늘을 가르며 날아가거나, 로봇 형사(‘형사 가제트’라는 ...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개념을 추론했다”며 “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익히면 머릿속에 더 오래 남았다”고 밝혔다. 매년 수능 만점자의 정석과도 같은 답변인 ‘교과서만 봤다’는 이 양에게도 적용된다. 다만 그는 기본기를 다지는 데 교과서를 활용했다. 이 양은 “기본 개념을 다지지 않고 문제를 ... ...
- [화보] 자연에 숨어있는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능력을 가진 친구들이 있어요. 자연에도 숨겨진 능력자들이 있답니다. 물이 없어도 오래 버티는 오릭스, 알을 입 안에 품고 키우는 물고기, 숙주의 건강을 도와주는 기생충까지! 영국왕립학회가 뽑은 2018년의 과학 사진들을 함께 보면서 지구 곳곳에 숨어있는 능력자들을 만나 볼까요? 도마뱀은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엔진이 작동되었어요. 이번 시험발사체 최종 발사에서도 75t급 엔진은 목표 시간보다 더 오래 연소하는 데 성공했어요. 총 151초간 연소하면서 140초였던 목표 시간을 10여 초 정도 넘겼지요. 이로써 한국형발사체의 핵심기술인 75t급 엔진의 성능을 완벽하게 검증할 수 있었답니다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영상 205개를 분석해 동물 24종의 하품 시간을 알아냈어요. 그 결과 인간이 6.5초로 가장 오래 하품을 했고, 가장 짧았던 쥐의 하품 시간은 0.8초였지요. 또 인간과 침팬지, 고릴라 등 영장류는 비영장류보다 평균 1.5초 더 하품을 길게 했어요. 연구진은 하품의 지속시간은 대뇌피질의 신경세포 수와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하늘을 날고 싶다는 꿈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어. 그래서 우리 형제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하늘을 날기 위해 수많은 도전을 했단다. 그리고 그 도전은 열기구에서부터 시작되지. 라이트 형제로 한 번, 제트엔진으로 한 번! 사람이 하늘을 비행한 공식적인 첫 기록은 1783년 프랑스의 발명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육각형의 결정을 볼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왜 눈송이는 육각형 모양일까요? 이 질문은 오래 전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샀어요. 행성 연구로 유명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1611년에 쓴 논문에서 ‘눈송이가 육각형인 것은 눈송이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과 관련이 있을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