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으)로 총 3,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센서’가 빛을 발해요. 우선, 실시간운동 GPS는 오차가 수 cm에 불과해요. 오차가 수m인 일반 GPS보다 훨씬 정확하기 때문에 슈팅스타는 자신의 위치를 보다 세밀하게 잡을 수 있지요. 그리고 리얼 카메라 센서는 주변 드론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자신에게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계산하는 ...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과정이 노화다. 퇴행성 뇌질환 연구를 통해 신경세포의 기능을 감퇴시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발견하면 결국 신경세포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비결도 알 수 있다. 이 교수는 “과거 60세에 불과하던 평균 수명이 81세까지 늘어났다”며 “20세 무렵에 성장을 마치는 뇌를 유지·보수하며 사용해야 하는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계산하고 있는데, 현재 최고 기록은 5월 6일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소속의 마레인 횔러 박사가 공개한 633개입니다. χ는 과연 얼마일까요? 5, 6, 7? 과연 또 누가 이 문제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지 궁금합니다. 누구든 도전하면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아이디어로 χ<7이나 χ>5를 증명할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바깥쪽에, 2와 2는 등호양 옆에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 공식을 얻을 수 있지요. 팔등신인 사람의 키만 알면 이 공식으로 얼굴 길이도 쉽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 별거 아닌 것 같아도 그리스 수학자 탈레스와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공식을 써서 거대한 피라미드의 높이와 지구의 반지름을 알아냈으니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구조에는 차이가 있다”며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동일한 값이 나와야 진정한 표준으로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키블 저울 기술이 플랑크 상수 값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면 질량 실현은 지금보다 훨씬 간편해 진다. 이 책임연구원은 “원기는 단위가 1 kg이어서 원자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학에서 가장 오래된 응용 분야를 꼽으라면 그 중 하나는 암호일 것이다. 고대부터 주로 군사 및 외교적 안보를 목적으로 사용된 암호는 오늘날 전 ...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SLE(k)로 표현이 가능한데요, 등각불변이면 물리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여러 구체적인 등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학은 물론 물리학에서까지 각광을 받습니다. 듀밀-코핀 교수는 2014년 ‘이징 모형’ 위에 그린 경계 곡선이 SLE(3)이 된다는 것도 증명했습니다. 금속 원자는 초소형 자석처럼 ...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분전일분화(一分錢一分貨). 한 푼으로는 한 푼 어치의 물건밖에 살 수 없다는 의미의 중국 성어다. ‘싼 게 비지떡’이라는 우리 속담과 유사하다. 오랜 시간 ‘ ... 2016년 9월 중국으로향했다.현재중국칭화대전자공학과교수및인공지능센터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소자연구를하고있다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건의 민간요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했다. 또 고려약 위주로 제약 공장을 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과 진료에도 양·한방을 병행했다. 1995년 이전에는 현대의학에 뿌리를 둔 치료가 80%였지만, 최근에는 전통의학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북한은 남한과는 다른 식생대에 분포하는 만큼 남북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1년과 2012년 ‘에이샤크(A-Shark)’를 개발한 바 있다. 이외에도 대회장에는 KIOST가 개발 중인 수중건설로봇 3종과 해저환경 조사용 수중로봇 ‘KIO-가온’이 전시됐다. 집게로봇을 조종해 미션을 수행하는 ‘집게로봇 조종왕이 되어라!’, 수중로봇 전시를 자세히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맞힐 수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