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때와 장소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조금’이 때다!진도 앞바다는 조류가 매우 빠른 곳이에요. 그래서 조류의 속도가 가장 느려지는 ‘조금’일 때에만 유물을 발굴할 수 있어요.조금은 해수면 높이의 차이가 가장 작을 때를 말해요. 보통 달이 반쪽만 보이는 상현(음력 8일)과 하현(음력 23일)이 조금에 해당된답니다. 이때 태양과 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정체는 자주색 양배추였지요.“최종 미션은 자주색 양배추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미션 장소는 바로 부엌입니다!”아저씨는 TV에 나오는 진행자 같았어요. 시원이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말했어요.“그런데 지금 우리가 무슨 미션을 하고 있는 거야?”“글쎄…. 모르겠는데?”“나도…. 우리가 왜 저 ... ...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뼈가 그대로 보존돼 있기도 하고요. 따라서 지질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겐 멋진 연구장소가 된답니다.하지만 블루홀 안으로 들어가는 일은 쉽지 않아요. 블루홀 안쪽에선 힘이 센 물살을 이겨내야 하거든요. 따라서 현지에서도 블루홀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도록 통제하고 있답니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위해 경로를 짜다 보면 비효율적으로 빙빙 돌아갈 수 있어요. 또 주어진 일을 정해진 장소에서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일의 순서까지 생각해 전체 경로를 계산해야 하지요.이때 여러 대의 로봇이 서로 충돌 없이 최단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알고리즘을 짜면 매우 편리할 거예요. 3D ... ...
- Part 3.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도대체 상괭이들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상괭이들이 죽은 채 발견됐다던 몇몇 장소를 찾아가 위협 요인을 분석해 보았습니다.추위는 상괭이에게 치명적일 수 있어요. 상괭이는 머리 위에 있는 숨구멍을 수면 위로 내밀어 숨을 쉬는데, 바닷물 표면이 얼면 숨을 쉴 수가 없거든요.대표적인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양을 ‘질량’이라고 해요.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장소가 바뀌어도 항상 일정하지요.우리는 흔히 무게를 말할 때 ‘kg’을 써요. ‘내 몸무게는 60kg이야’ 하는 식으로요. 하지만 kg은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예요.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는 ‘kg’ 뒤에 ... ...
- [현장취재 ➋] ‘마인크래프트 코딩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나누고 합치는 과정이 바로 알고리즘!교육을 수료하고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는 지정된 장소에서 나무를 캐거나 집을 짓는 등 14가지 미션을 끝내야 해요. 이때 중요한 점은 여러 일을 한꺼번에 시킬 수 없다는 거예요. 한 번에 하나의 움직임만 할 수 있지요.예를 들어 알렉스가 앞으로 3칸 이동 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뒤에는 마지막으로 친환경 자동차 만들기 미션이 시작됐어요.“각 팀별로 자동차가 달릴 장소, 자동차의 모양, 바퀴, 사용할 에너지를 고르세요.”선생님의 설명에 따라 각 조의 친구들은 자동차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물을 전기분해할 때 나오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 휴대전화처럼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떤 모습이었는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탐사 장소가 정해진 뒤 암석을 채취하는 일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었다. 때론 절벽에 매달려 암석을 채취해야 할 때도 있었다. 그래도 경험과 지식이 풍부한, 숙련된 연구자에겐 비교적 수월하지 않을까. 수십 년 경력의 이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바바로 뚫기 위한 도구(천공기)를 이용해 균열을 더 크게 만든다. 이렇게 해서 꿀이 있는 장소까지 도달할 수 있으면 최종적으로 브러시 같은 도구(수집기)를 이용해 꿀을 얻는다. 벌집의 형태와 위치에 맞게 이 도구들을 섞어서 이용한다.침팬지는 창도 이용할 줄 안다. 2005년 학계에 처음 보고된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