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사가 쓰고,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리는 본격 의학 웹툰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배우며 메디컬 일러스트에 흥미가 생겼다. 메디컬 일러스트는 의학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실을 토대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의학 지식을 활용하는 의약계나 의료산업계에서 많이 활용된다. 홍 씨는 “우연한 기회에 안면 성형시술법을 메디컬 일러스트로 그려달라는 의뢰를 받았는데, 이후 201 ... ...
- [스쿨리포트 A+] 환경 오염 알리는 미술 작품 만들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과학교사의 Tip. ④ 좋은 평가 받으려면미술 작품을 통해 최신 통계 수치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것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5점 중 5점을 획득한 아래 작품을 예로 들면, 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국가에 대한 신문기사를 읽고 국가별 인구 1인당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했어요. 옷, 신발 등 매일 마주하는 제품은 어떻게 설계하고 제작하며, 고객에게 어떻게 전달하는지 보고 개선할 점을 고민하는 게 재밌었죠. 그러다 보니 보다 더 재밌고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나만의 브랜드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유학을 뒤로하고 사업을 시작했어요.응용수학을 전공한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BBB)이 있어 포도당이나 산소 같은 뇌에 필요한 극히 일부 물질을 빼고는 뇌에 바로 전달될 수 없으니까요. 초콜릿을 먹고 기분이 좋아지는 진짜 이유는? 그렇습니다. 결국 당 때문입니다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doi: 10.1073/pnas.1306263110 연구팀은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에 항체가 결합해 세포의 신호 전달 과정을 촉진하면 세포가 형광을 띠도록 만들었고, 형광을 띠는 세포만 골라 항체를 떼어내 작용제 항체만 분리했다. 예 교수팀은 이 기법으로 백혈구 증식인자(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G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완료된 반면, 발사대, 조립동 같은 핵심시설의 상세설계는 2007년에야 러시아로부터 전달됐다. 이유는 발사대가 발사체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발사체에 대한 기본적인 설계가 진행돼야만 발사대 설비를 구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 우주기술의 특성상 러시아의 모든 기술문서는 국외 반출 ... ...
- 애피타이저와 날 것 즐긴 조선의 밥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때 대접받은 6번의 식사를 상세히 남겼고, 그림도 그려 놨다. 박 단장은 “포크가 정보 전달을 위해 남긴 기록에서 근대 개혁 전 조선인의 식생활을 엿볼 수 있다”며 “한식 상차림에서 본식과 구분되는 전채요리가 있었다는 새로운 사실도 발견했다”고 밝혔다. 박 단장은 이런 내용을 지난해 10월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학습… 표정 분석이 핵심‘영업 및 마케팅 분야 적합도 99%, 연구개발 분야 50%’.이틀 뒤 전달받은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히스톤단백질을 주제로 나름 석사 논문도 썼고, 기사 취재용 논문을 읽는 데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사람에게 마케팅이라니! 역량게임을 통한 면접에서 성취욕이 강하고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떨어져도 깨지지 않는 달걀?! 달걀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넣을 최적의 타이밍인데…! 그때 섭섭박사님은 달걀을 깨뜨리지 않고 아래층으로 빠르게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이 떠올랐어요. 그 비법 지금 공개할게요! 달걀을 무사히 지켜내려면? “여러분, 달걀을 바닥으로 던질 거예요! 단 깨지지 않게요.”섭섭박사님은 기자단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국제콘퍼런스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주최한 ‘2019 SNU 생명과학 신호전달 및 염색질 심포지엄’에 귀한 친구가 찾아왔다.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2008년 인연을 맺은 두 과학자는 10년 넘게 서로의 연구에 도움을 주고받은 동료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