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지도였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이 유전체를 당시 아시아인으로는 유일하게 분석된
중국
인의 유전체와 비교한 결과 500만 개 정도에서 유전자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양이었습니다. 국가별로 유전자 변이가 다른 만큼 결국 개인 유전체를 해독할 필요가 있음을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이때 인류는 소수를 알았을 뿐 아니라 특별하게 여긴 겁니다. 기원전 1000년 경
중국
의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콩을 다섯 개씩 세 줄로 늘어놓아 5라는 소수로 15를 만들 수 있다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약 800년 후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런 성질을 신비롭게 여겨 소수를 모든 수의 근원으로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인공 달이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중국
하얼빈공학대학교 강 웨이민 교수는 “노을빛 정도의 부드러운 빛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답니다. ● 답 : 모두 진실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유럽이나 미국에서 건너온 외국 돼지들이랍니다. 우리나라 재래 돼지는 약 2000년 전,
중국
의 동북 지역인 만주에서 들어왔어요. 연구자들은 고구려 시대 한민족이 기르던 소형 재래종이 한반도로 들어온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 이후 1904년에 쓰여진 을 보면 조선 말기까지도 재래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되는 새로운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2018년 11월 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 및 센싱 분야의 국제학회인 ‘미국컴퓨터협회 센시스’에서 발표돼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를 수상했다 ... ...
[과학뉴스] 中 연구팀,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손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공개했다. 첸 교수는 최근
중국
신문망과의 인터뷰에서 “양산에 들어가면 로봇 손의 제조 원가를 1000위안(약 16만4000원)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며 “이는 성능이 비슷한 기존 로봇 팔(100만 위안, 약 1억6400만 원)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3년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세계를 대상으로 경쟁을 벌여야 합니다. 미래의 핵심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국,
중국
보다 더 잘해야 하는 것이죠. 그러려면 인류의 미래에 기여하겠다는 큰 꿈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게 중요합니다.” [재학생 인터뷰]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아우르는 재료공학부 - 우리 학부를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cm인 이 랩터 공룡은 엉덩이 높이가 4.5cm다. 이전까지 발견된 랩터 공룡 중 가장 작은 것은
중국
랴오닝성에서 발견된 ‘마이크로랩터’로, 발자국 길이가 약 2.3cm였다. 이 기록을 깨고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공룡 발자국이 확인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생대 백악기 진주 지역에서는 참새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문제를 해결했다. 창어 4호가 2019년 1월 무사히 달 뒷면 남극 에이트켄 분지에 착륙하면
중국
은 달 뒤편의 심우주에서 오는 0.1~40MHz 수준의 저주파를 관측해 별이 소멸되는 과정과 다양한 성간 물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다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틀린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이런 소수를 찾는 방법도 알아냈다. “2009년
중국
상하이에 볼일이 있어 머물렀는데, 문득 샤워하다가 루스즈티그 추측이 성립하지 않는 소수를 찾을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곧장 컴퓨터를 켜고 떠오른 아이디어를 프로그래밍했고, 추측이 잘못됐다는 걸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