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자국에서 필즈상 수상의 영예 안을까?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받기 전에 세상을 떠날지도 모르는 시한부 선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지도교수 옆에서 연구를 이어갔기 때문입니다. 뛰어난 연구 성과로 미국 코넬대학교 대학원생이 받을 수 있는 최고 영예인 베티그상도 수상하고, 무사히 박사 학위도 받았습니다. 올해 세계수학자대회는 브라질에서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져오라고 와이파이를 통해 명령해요. 그러면 키바는 땅바닥에 붙어 있는 QR코드들을 지도삼아 선반과 작업자 사이를 이동하지요. 물품이 가득한 선반은 무겁지만 키바는 최대 약 450kg까지 들어 올릴 수 있답니다(대형 키바는 최대 약 1.3t까지). 키바 덕분에 물건을 찾아서 포장 상자에 넣는 시간이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과학동아리 100% 활용하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활동과 방학 중 과학캠프에 참가하기도 합니다. 본교에서만 올해로 3년째 과학동아리를 지도하다보니 나름 기반이 튼튼해져서 과학을 좋아하고 매사에 적극적인 학생들의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학생들이 과학동아리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능동적인 참여, 적극적인 자세와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알 수 있는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바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을 알 수 있는 ‘유전자 지도’다. 생명정보학자는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분석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뿐 아니라 정보기술(IT)이 결합된 융합 학문이다. 유전자의 특성이 많이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기간, 병충해 저항성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 정보도 담겨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유전자 지도는 색과 향이 짙고, 꽃이 크며, 오랜 기간 피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병충해에도 강한 ‘완벽한 장미’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용해 딸기 개체별로 유전자 마커의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뒤 이를 취합해 유전자 지도를 만들고 있다”며 “연간 5만 개 정도의 우선 형질 유전자를 선별해 실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간 우선 형질 유전자를 5만 개가량 선별하려면 전통적인 방식을 사용하기가 어렵다. 이성희 교수팀은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발사체와 인공위성, 인간동력항공기 등 전공과 연계된 동아리 6~7개는 교수들이 직접 지도하면서 학생들의 진로 설정을 돕고 있다. 이들 동아리는 1년 동안 연구개발한 내용을 토대로 매년 ‘항공전’이라는 행사를 개최한다. 서울대 재학생들은 물론 인근 지역의 중·고등학생들까지 방문할 만큼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학부(물리학)를 마치고, 앤아버 소재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브라이언 콘래드 교수의 지도 아래 박사과정을 수료했습니다. 영국의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케임브리지대학, 킹스칼리지 런던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고등과학원 수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랭글랜즈 ... ...
- 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클라인 병 놀이공원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재미있으신가요? 저희가 깜짝 퀴즈쇼를 마련했습니다. 지금까지 체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퀴즈를 풀어주세요. 정답을 ...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읽을 수 있게 되면서부터였습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과학자들은 인간의 유전체 지도를 작성하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HGP)’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계기로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기술은 엄청난 발전을 하게 되죠. 2001년 2월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결과가 발표되자, 미생물학자들은 인간의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