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또 사기를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분자마다 결합할 수 있는 후각수용체의 종류와 개수가 달라, 이들의 조합에 따라 사람은 총 1만 가지 이상의 냄새를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톡토기'가 비온 뒤 흙냄새를 좋아하는 이유 비가 내린 뒤에 더 진해진 흙냄새를 맡고 정겹다고 느낀 적이 있나요? 이 냄새의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반대로 흐른다.사토르는 시간이 역행하는 반대쪽 방에서 자신을 배신한 아내 캣에게 총을 쏜 뒤 회전문을 통해 도망간다. 이때 시간이 정상적으로 흐르는 방에서 사토르를 지켜보던 요원의 시야에선 사토르가 사라진다. 과연 사토르는 어디로 사라졌을까.주인공은 사토르와 같은 공간, 같은 시간에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지뢰를 찾는 거야. 아래 문제 상황에서 공개된 칸 주변에 지뢰가 분포할 수 있는 경우는 총 11가지야. 아래 ➌의 그림에 표시된 칸은 11가지 중 10번이나 지뢰가 있었으니 실제 지뢰가 있을 확률이 매우 높겠지?하지만 단순 알고리듬과 탱크 솔버 알고리듬을 사용해 대부분의 지뢰를 찾았다고 해도 ... ...
- [퍼즐라이프]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라! 키슬 퍼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수를 5로 나눈 12(=3×20÷5)개라는 걸 알 수 있죠. 키슬 퍼즐 조각에 달린 나무 구슬도 총 12개이므로, 조각을 결합했을 때 나무 구슬의 중심이 정이십면체의 꼭짓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그렇기도 하고요. 좀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볼까요? 4개의 조각을 어떻게 결합해야 할까? ㄱ자 ... ...
-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한민국을 덮친 벌레의 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서구 한 빌라에서 유충 신고가 처음 접수된 이후 8월 7일까지 발생한 유충 신고 건수는 총 257건에 이르렀다. 8월 10일 인천시와 한강유역환경청은 ‘수돗물 유충 관련 전문가 합동 정밀 조사단’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인천 서구에 위치한 공촌 정수장과 ‘활성탄 흡착지’에 유입된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 있었을까. 팔당댐 물이 수도꼭지로 흘러나오기까지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은 총 10단계의 정수 과정을 거친 물이다. 먼저 한강, 낙동강, 섬진강 등 취수원의 물을 끌어들여 취수장으로 보낸다. 서울은 팔당댐부터 잠실 수중보까지 약 25km 구간에 팔당(광암), 강북, 암사, 풍납(영등포), 자양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찬스 님은 외관까지 게임 속 탱크와 똑같이 재현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총동원했습니다.납땜의 멋짐을 아는 쾌남 민바크 님의 전자 제어 작업은 이번에도 지루하다고 영상에서는 대량 편집됐으나… 탱크를 움직이고 포를 발사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죠. 한 작품을 만드는 데 장장 39일이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백신 ‘mRNA-1273’의 1상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일부 참가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났다. 총 45명의 시험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눠 백신을 저농도, 중간 농도, 고농도로 투여했을 때, 중간 농도 이상으로 투여한 참가자 그룹 전원에게서 전신성 부작용이 발생했다. 낮은 농도로 투여한 참가자 ... ...
- 박람이가 남긴 마지막 선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원인으로 보였지요. 결국 예정에 없던 외과 수술이 시작됐지만 이동부터 수술까지 총 7시간의 마취가 무리였는지, 수술 중 박람이의 심장이 멈춰버렸습니다. 박람이의 안타까운 사연은 영화 을 통해 공개됐습니다. 영화를 보신 많은 분들이 호랑이사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셨지요.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운하를 통과하면 거리가 2만1000km이다. 북극 항로를 이용하면 1만2700km만 항해하면 된다. 총 45일 걸렸던 거리를 35일 만에 갈 수 있다. 연료비 등 선박 운항에 필요한 비용이 그만큼 절약된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이미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