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발"(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놀이와 즐겨 먹던 먹거리가 있는 한국민속촌으로 달려가 봤어요~! 70, 80년대 추억 속으로, 출발~!추억의 아지트 문방구 만화방예쁘다! 종이 위에 예쁜 인형과 옷이 그려져 있어. 이게 엄마가 어렸을 때 갖고 놀던 종이인형이구나~!이것 봐! 멋지고 재미있는 캐릭터들이 동그랗게 잔뜩 그려진 종이가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스핀을 설명한다는 사실도 디랙이 밝혀냈다.3월호에 이야기했듯이 추상적인 사고로부터 출발한 수 체계의 기적적인 응용이 신비롭게 느껴질 때가 많다. 그러나 우주를 이루는 공간 입자가 대수로부터 우러나온다는 다익그라프의 추측이 맞다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만났을 때 휘돌아 흘러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눈에는 물체 뒤쪽에서 출발한 빛만 보이기 때문에 마치 물체가 사라진 것처럼 뒷배경만 보인다. “투명망토 만들고 싶다” “정신 나간 게 틀림없군” 이런 방식으로 빛을 굴절시키는 물질은 자연에 없다. 다시 말해, 음(-)의 굴절률을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사용되는 ‘베르누이 분포를 만든 야곱 베르누이입니다. 저의 임무는 재빠르게 출발한 뒤, 두 번째 주자에게 바통을 넘기는 것이죠. 두 번째 주자인 요한 베르누이는 저의 동생이자 제자입니다.사실 우리 형제는 스위스에서 각각 철학과 의학을 전공했지만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어요. 그러던 어느 ... ...
- [Knowledge] 태양계 최대의 화산 ‘올림푸스몬즈’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지구에서 보는 달의 3분의 1 크기다. 모래바람이 포보스를 집어삼킬 기세다. 화성으로 출발하기 전, 외우도록 읽고 또 읽었던 매뉴얼의 내용이 떠올랐다. 화성에서 보는 태양은 ‘지구의 태양’의 8분의 5 정도 크기고, 40% 어둡다. 내일 보는 첫 일출은 어떨까. 화성에서 처음 맞을 아침을 기대하며,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결과를 주었다.모든 힘을 동일한 기원에서 본다는 초끈이론은 어떨까. 초끈이론에서 출발한 급팽창 모델은 ‘막 인플레이션’, ‘각 인플레이션’ 등이 있다(이 외에도 많다). 이 모델들의 특징은 r 값이 10만분의 1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이번 바이셉2 관측 결과인 r=0.2에 따르면 두 모델 모두 ...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시차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간대를 찾아냈다.어플리케이션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출발지와 도착지만 입력하면 두 지점의 시차를 계산한 어플리케이션이 빛을 받아야 할 시각을 알려 준다. 예를 들어 뉴욕에서 런던으로 여행을 떠났다면, 첫 날에는 오전 7시 58분부터 오후 8시 14분까지, 다음 날에는 ... ...
- 최첨단 지도 연구 현장 국토지리정보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하는데, 전국에 기준점이 약 3만개 정도 있어요.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 측량의 출발점 역할을 하는 기준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 설치돼 있어요. 이 기준점은 우리나라 국토와 관련된 모든 측량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어요.김하은 : 기준점도 여러 종류가 있나요? 어떤 ...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수학은 매일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기예보에, 시간을 알리는 데, 돈을 관리하는 데!수학은 단순히 공식이나 방정식이 아닙니다. 논리이며, 이성의 ... 바뀌기 때문에, 충돌각도를 계산할 때 기하학적 지식이 많이 필요하다. 또 실제 혈흔의 출발지점을 계산할 때에도 고차원 수학이 쓰인다 ... ...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792~1856년)와 헝가리의 야노시 보야이(1802~1860년)였다. 두 수학자는 사케리의 예각가설에서 출발해, 모순 없는 새로운 기하학을 만들었다. 바로 ‘쌍곡기하학’이다. 이 체계에서 쌍곡면은 말안장 같은 형태의 볼록한 면으로 그릴 수 있는데, 그 위에 삼각형을 그려보면 그 내각의 합은 180°보다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