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d라이브러리
"
푸른
"(으)로 총 793건 검색되었습니다.
4.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사회자가
푸른
바탕의 세트에서 위성 데이터나 일기 관련 정보를
푸른
색으로 표시한 후
푸른
색은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 크로마키기법이다. 가상 스튜디오는 크로마키기법을 사용하면서 알파 체널에 키값을 사용해 화소를 프로그램 상에서 선택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사회자가 3차원 가상 ... ...
2. 알칼리 이온음료는 왜 산성일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온음료들은 정말 알칼리성일까. 그것을 알아보기 위해 리트머스시험지로 찍어보면
푸른
색 리트머스시험지를 붉게 만드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사실로 알칼리 이온음료는 알칼리성이 아니라 산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알칼리 이온음료가 산성인 이유는 맛있는 청량음료를 만들기 위해 탄산을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 있는 평범한 표본에 지나지 않는다.은하의 색깔을 보면 중요한 사실들을 알 수 있다.
푸른
은하는 젊은 별로 이뤄져 있거나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것들이고, 붉은 은하는 그 반대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자료를 이용해서 은하의 거리와 나이, 그리고 화학조성 등을 알아낸다. 이러한 연구는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붉게 물들이는 물질이 산성이다. 위의 물질들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푸른
리트머스종이를 붉게 만드는 성질이 있다. 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할 것이다.보통 순수한 물속에는 수소이온이 1천만분의 1 농도로 들어 있다. 그러나 산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에는 그것보다 많은 수의 수소이온이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진2)의 왼쪽은 임명신 박사가 몇주 후에 발견한 작고 어두운 중력렌즈다. 4개의 어둡고
푸른
천체들이 이보다 밝은 타원은하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것을 사진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력렌즈의 존재는 분광관측을 이용해서 확인하는 것이 통례다. 하지만 이 경우 타원은하를 둘러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조류의 생활사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하게 살펴보자.바닷물이
푸른
것은 하늘이
푸른
것처럼 빛이 물분자나 물속 작은 입자들에 의해 산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닷물의 색깔은 물속 부유성 조류(식물플랑크톤)나 부유입자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연안에 엽록소를 가진 식물플랑크톤이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뻗치지 않은 곳이 없는 미세한 연락망이 형성돼 있다. 여기서 특이한 것은 붉은 동맥,
푸른
정맥 및 신경 가지가 경락체계에 포함돼 있는 것. 즉 이 학자는 경락시스템을 신경 혈관 등의 집합체인 '포괄적' 맥관계로 이해한 것이다.또 경락을 연구할 때, 피부표층과 심층에 존재하면서 혈관을 연결하는 ... ...
술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개미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부의주'라고 부르고, 잔에 부어진 술의 빛깔과 모양새가
푸른
바다와 같다 하여 '벽해주'라고 했다.그러나 이러한 여러 이름의 술도 제조원리는 같다. 일반적으로 약주류는 누룩과 고두밥(찐쌀) 물, 그리고 일부 약재류 등을 혼합해 버무려 넣고 독에서 발효시키는 ... ...
토성의 새 위성 4형제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경험하고 있기 때문. 이렇듯 은하 전체에 걸쳐 대규모적으로 일어나는 별탄생은 뜨겁고
푸른
젊은 별들을 한꺼번에 많이 태어나게 한다.이 사진은 청색과 녹색, 그리고 적색으로 촬영한 WFPC2 사진을 합성해서 우리 눈에 보이는 색으로 재현한 것. HST는 이 사진을 완성하기 위해서 48회 지구를 ... ...
은가루 속의 짝별 알비레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꼬리 끝이며 그 반대편 끝별은 알비레오(Albireo)다. 백조의 머리인 셈이다. 알비레오는
푸른
별과 노란 별의 짝으로 분리되어 보이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처음 이중성을 관측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는 데네브는 태양보다 25배나 무겁기 때문에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