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뉴스
"
구분
"(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로바이러스 환자 지난주만 182명…"음식조리·개인위생 주의"
연합뉴스
l
2022.01.28
공간에서 환자가 나왔다면 48시간 이상 집단생활을 제한하고, 가정에서도 공간을
구분
해서 생활하는 것이 좋다. 질병청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전국 지자체 보건소와 함께 설 연휴 기간인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비상방역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설 연휴 ... ...
AI로 숲속 새소리 구별한다…구글, 뉴럴 네트워크 개발
연합뉴스
l
2022.01.28
만큼 풍부한 새소리가 들린다. 문제는 여러 새가 동시에 지저귀기 때문에 이를 일일이
구분
하기 어렵고, 특정한 새소리를 인공지능이 학습하도록 할 때 표본으로 삼을 깨끗한 새소리 녹음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코넬대학이나 학술재단 등이 축적한 새소리 음성 데이터가 있지만 모두 자연 ... ...
임혜숙 "과기정통부가 우주정책 잘하고 있는데…우주청 신설되도 과기부 산하로 둬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밝혔다. 임 장관은 “과기정통부 장관을 하면서 (과기정통부 업무와 방통위 업무를)
구분
하는 게 가장 헷갈렸다”며 “(통폐합으로) 진흥을 위한 업무와 규제 업무를 한곳에 모으면 그에 따른 어려움도 있기 때문에 여전히 고민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임 장관은 이날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사용해 라틴어로 취급한다. 속명과 종명은 최소한 두 글자 이상이어야 하며, 다른 이름과
구분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아사이언스에서 새로운 종에 ‘동아’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싶으면 ‘dongai’처럼 지을 수 있다. 학명은 반드시 이탤릭체로 써야 한다. 명명규약이 그다지 엄격하지 않기 ... ...
하마는 울음소리만 듣고도 이웃을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살폈다. 그 결과 하마는 이웃 무리의 하마와 낯선 무리의 하마를 울음소리만 듣고도
구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낯선 하마의 울음소리를 들을 때 반응의 강도가 높아진 것이다. 하마는 자신이 전혀 모르는 하마 소리를 들었을 때 영역표시 행동인 대변을 뿌리는 행위를 보일 확률이 더 높았다. 반면 ... ...
백화점·대형건물서 코로나 밀접접촉자 10분만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3
때 제출한 가입 정보는 암호화된 ID 형태로 인증용 서버에 별도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를
구분
하는 모든 정보는 암호화된 ID를 이용하기 때문에 특정 개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방식이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앱인 ‘쿠브’와의 연동도 추진중이다. CTS는 현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불확정성 원리를 둘러싼 논란
2022.01.20
불확정성은 충분히 작아질 수 있어서 그 결과 최종 스크린에서 뚜렷한 간섭무늬를
구분
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 이는 전자의 파동성질이 살아나고 입자적 성질이 사라짐을 뜻한다. 반대로 전자의 위치에 대한 불확정성이 줄어들면 전자가 어느 틈으로 지나갔는지 그 경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 ...
기업부설연구소 R&D 역량 맞춤형 개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필요한 기술애로 해결, 보유기술 고도화, 선도기술·제품 개발 등 3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
, 지원하기로 했다. 권석민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그동안 기업 R&D 지원 규모와 기업연구소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을 위한 전용 사업이 미흡했다”며 “국가 전반의 R&D 혁신역량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바디스캔의 핵심
2022.01.15
주의를 능숙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면 통증처럼 느껴지는 다양한 감각들을 진짜 통증과
구분
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저리기만 한 줄 알았는데 사실 좀 시원한 느낌과 간지러운 감각도 섞여있다든가 말이다. 어쩌면 주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자신의 몸 상태를 좀 더 잘 알게 되고 내 ... ...
[잠깐과학]‘블랙 위도우’의 치명적인 독
과학동아
l
2022.01.15
원리다. 가트소지아니스 교수는 “라트로톡신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신경독과도
구분
되는 특성을 지녀 연구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검은 과부거미의 신경독 α-LCT 단위체와 δ-LIT 이합체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